-
- 세계유산 조선왕릉 40기, 모두 열린다...서삼릉 효릉 9월 개방
-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제공[이승준 기자] 그동안 일반인 관람이나 출입이 제한됐던 경기 고양 서삼릉 내 효릉(孝陵)이 다음 달부터 관람객을...
- 2023-08-24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31] 고종과 명성황후의 묘 ‘홍릉洪陵’
- [이승준 기자] 홍릉은 대한제국 1대 고종태황제와 명성태황후 민씨의 능으로, 기존 조선왕릉의 형식과 다른 대한제국 황제릉의 형식으로 조성됐다. 이는 고종...
- 2022-08-02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30] 순종과 순명황후.순정황후의 능 ‘유릉裕陵’
- [이승준 기자] 유릉은 대한제국 2대 순종효황제와 첫 번째 황후 순명효황후 민씨와 두 번째 황후 순정효황후 윤씨의 능으로, 유릉은 합장릉의 형태로 한 봉분 ...
- 2022-08-02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29] 철종과 철인황후의 능 '예릉睿陵'
- [이승준 기자] 예릉은 조선 25대 철종장황제와 철인장황후 김씨의 능이다. 하나의 곡장 안에 왕과 왕비의 봉분을 나란히 조성한 쌍릉 형식으로 정자각 앞에서 ...
- 2022-08-01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28] 24대 헌종과 효현황후·효정황후의 능 '경릉景陵'
- [이승준 기자] 경릉은 조선 24대 헌종성황제와 첫 번째 왕비 효현성황후 김씨와 두 번째 왕비 효정성황후 홍씨의 능으로, 경릉은 세 개의 봉분을 나란히 조성한...
- 2022-07-31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27] 추존 문조와 신정황후의 능 ’수릉綏陵‘
- [이승준 기자] 수릉은 추존 문조익황제와 신정익황후 조씨의 능으로, 수릉은 한 봉분 안에 왕과 왕비를 같이 모신 합장릉(合葬陵)의 형식이다. 보통의 합장릉...
- 2022-07-31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26] 23대 순조와 순원황후의 능 ‘인릉仁陵’
- [이승준 기자] 인릉은 조선 23대 순조숙황제와 순원숙황후 김씨의 능으로, 인릉은 같은 봉분에 왕과 왕비를 같이 모신 합장릉의 형식이다. 우왕좌비(右王左妃)...
- 2022-07-31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25] 22대 정조선와 효의황후의 능 ‘건릉健陵’
- [이승준 기자] 건릉은 조선 22대 정조선황제와 효의선황후 김씨의 능으로, 건릉은 같은 봉분에 왕과 왕비를 같이 모신 합장릉의 형식이다.진입 및 제향공간에...
- 2022-07-30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24] 추존 장조와 헌경의황후 홍씨의 능 ‘융릉隆陵’
- [이승준 기자] 융릉은 추존 장조의황제와 헌경의황후 홍씨의 능으로 합장릉의 형태로, 1789년(정조 13)에 배봉산에서 현재의 자리로 옮기면서 현륭원(顯隆園)으...
- 2022-07-30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23] 추존 진종-효순소황후 조씨의 능 ‘영릉永陵’
- [이승준 기자] 영릉은 추존 진종소황제와 효순소황후 조씨의 능이다. 영릉은 같은 언덕에 왕과 왕비의 봉분을 나란히 조성한 쌍릉의 형식으로 정자각 앞에서 ...
- 2022-07-30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22] 21대 영조와 정순왕후 김씨의 능 ‘원릉元陵’
- [이승준 기자] 원릉은 조선 21대 영조와 두 번째 왕비 정순왕후 김씨의 능으로, 쌍릉의 형태이며 정자각 앞에서 바라보았을 때 왼쪽(서쪽)이 영조, 오른쪽(동쪽)...
- 2022-07-28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21] 20대 경종과 선의왕후 어씨의 능 ‘의릉懿陵’
- [이승준 기자] 의릉은 조선 20대 경종과 두 번째 왕비 선의왕후 어씨의 능이다. 의릉은 같은 언덕에 왕과 왕비의 봉분이 앞뒤로 나란히 배치한 동원상하릉의 형...
- 2022-07-28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20] 19대 숙종과 인현왕후.인원왕후 '명릉明陵'
- [이승준 기자] 명릉은 조선 19대 숙종과 두 번째 왕비 인현왕후 민씨와 세 번째 왕비 인원왕후 김씨의 능이다. 명릉은 같은 능역 안에 하나의 정자각을 세우고 ...
- 2022-07-27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19] 18대 현종과 명성왕후 김씨의 능 '숭릉崇陵'
- 숭릉 정자각(항공 사진)[이승준 기자] 숭릉은 조선 18대 현종과 명성왕후 김씨의 능으로, 숭릉은 하나의 곡장 안에 봉분을 나란히 배치한 쌍릉(雙陵)형식이다. ...
- 2022-07-25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18] 제17대 임금 효종과 비 인선왕후의 동원상하릉 ‘영릉’
- 효종 영릉[이승준 기자] 영릉은 조선 제17대 임금 효종과 비 인선왕후의 동원상하릉이다. 왕릉과 왕비릉이 한 언덕에 같이 있는 경우 대개는 봉분을 나란히 두...
- 2022-07-25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17] 16대 인조와 첫 번째 왕비 인열왕후 한씨의 능 ‘장릉長陵’
- [이승준 기자] 장릉은 조선 16대 인조와 첫 번째 왕비 인열왕후 한씨의 능으로 합장릉의 형식이다. 장릉은 원래 파주 운천리에 있었다가 1731년(영조 7)에 현재의...
- 2022-07-24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16]추존 원종과 인헌왕후의 능 ‘장릉章陵’
- [이승준 기자] 장릉은 추존 원종과 인헌왕후 구씨의 능이다. 장릉은 같은 언덕에 왕과 왕비의 봉분을 나란히 조성한 쌍릉의 형식으로 정자각 앞에서 바라보았...
- 2022-07-23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15] 제15대 광해군.문성군부인 광해군묘(光海君墓)
- [이승준 기자] 광해군묘는 조선 15대 광해군과 문성군부인 류씨의 묘소이다. 묘소는 왕자 묘제의 예로 조성됐다. 쌍분의 형태로 조성돼 병풍석과 난간석을 생...
- 2022-07-23
-
- [조선 왕릉 이어보기14] 14대 선조와 첫 번째 왕비 의인왕후.인목왕후 김씨의 능 ‘목릉穆陵’
- [이승준 기자] 목릉은 조선 14대 선조와 첫 번째 왕비 의인왕후 박씨와 두 번째 왕비 인목왕후 김씨의 능이다. 목릉은 같은 능역 안에 각각 다른 언덕에 능침을 ...
- 2022-07-19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13] 13대 명종과 인순왕후 심씨의 능 ‘강릉康陵’
- [이승준 기자] 강릉은 조선 13대 명종과 인순왕후 심씨의 능으로, 강릉은 같은 언덕에 왕과 왕비의 봉분을 나란히 조성한 쌍릉의 형식이다. 정자각 앞에서 바라...
- 2022-07-19
-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
-
- [박정기의 공연산책 280] 고 윤무중을 추모하며
- 윤무중(1941~2023)은 소극장 원각사가 불이 나기 이전 1960년에 극단 Up Sun Stage의 유진 오닐 작, 지평선너머에 출연한 배우였다, 당시 문오장(1940~1999)과 국립극단의 안네프랑크의 일기에 안네프랑크로 출연한 전향이, 주요한 선생의 차남 주동직, 후에 마당놀이 작가 겸 정동 세실극장장이던 김청일( 1941~2021)과 함께 출연했다. 군복무 중 카츄사 ..
-
- [박정기의 공연산책 279] 제8회 여성연극제 작가전 선정작 극단 마고, 박연주 연출 '노파의 오찬'
- 민송아트홀 2관에서 제8회 여성연극제 작가전 선정작 극단 마고의 강추자 작 박연주 연출의 노파의 오찬을 관람했다.강추자 작가는 1943년 서울에서 태어나 숙명여고와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였다. 1977년 신춘문예에 희곡 「고양이 쥬리는 어디로 갔을까요?」, 1980년 국립극장 장막극 공모에 「공녀와 아실」이 당선되었...
-
- [박정기의 공연산책 278] 국립극단, 김 정 연출 '이 불안한 집'
- 명동예술극장에서 국립극단의 지니 해리스 작 성수정 역 김 정 연출의 이 불안한 집(This Restless House)을 관람했다.지니 해리스(Zinnie Harris)는 영국 옥스퍼드와 힐 대학출신의 극작가다. 로열 코트극장, 영국 국립극장, 스코틀랜드 국립극장,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에서 극작과 연출을 담당했다. 동시대적 작품, 고전을 현대적으로 해석 각색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