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90] 군자금 모금 통고문 일본 헌병에 넘겨준 패륜 악덕지주 처단한 후 체포돼 순국한 '김한종'
- [이승준 기자] 김한종, 1883 ~1921, 독립장 (1963)우리 4천년 종사는 회진(灰塵)되고 우리 2천만 민족은 노예가 되었다. 섬오랑캐(島夷:일제)의 악정폭행(惡政暴行)은...
- 2023-10-13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89] 조선의용대 병력과 함께 광복군에 합류...민족혁명당 감찰위원으로 광복 때까지 헌신 '이종건'
- [이승준 기자] 이종건, 1906 ~1960, 독립장 (1977)1935년 7월 5일 우리는 중국 수도 남경에서 5당을 통일하여 전민족군 진영―조선민족혁명당을 창립하였다. 이는 수...
- 2023-10-13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88] 양진여 “나라 독립을 원하며 이 내 목숨은 아깝지 않다.”
- [이승준 기자] 양진여, 1860 ~1910, 독립장 (1977)무릇 왜적(倭賊)은 우리의 하늘에 사무치는 원수인 것이다. 왜적의 머리는 무슨 쇳덩이기에 우리 칼날이 들어가지 ...
- 2023-10-07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87] 이동녕 “강력한 항일전을 수행하기 위해서 광복군을 결성해야 한다.”
- [이승준 기자] 이동녕, 1869 ~1940, 대통령장 (1962)여러 학생들이여 우리의 용기가 좌절하였는가. 아니다. 우리의 정열이 식었는가. 아니다. 우리 민족의 유일한 요...
- 2023-10-07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86] 김병조 “독립운동사를 편찬하자. 국제사회에 우리 독립투쟁을 알리자.”
- [이승준 기자] 김병조, 1877 ~1948, 대통령장 (1990)이르노니 너희 조선인으로 왜놈의 관리된 자야 양심에 따라 스스로 반성하라. (중략) 의를 의지하고 일어선 2천...
- 2023-10-04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85] 2.8 독립선언서의 초안을 손병희에게 전달한 '송계백'
- [이승준 기자] 송계백 , (1896) ~1922 , 독립장 (1962)전(全)조선 청년독립단은 아(我) 2천만 조선민족을 대표하여 정의와 자유의 승리를 득(得)한 세계 만국의 전(前)...
- 2023-10-04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84] 한국 민중의 벗, 일본의 양심 후세 '다쓰지' 변호사
- # 관동 조선인대학살 100년과 ‘박열사건’의 진상1923년 9월 1일 오전 11시 58분 일본 도쿄를 비롯한 간토(관동) 일대에 일어난 대지진의 혼란과 공포 와중...
- 2023-09-05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83] 천황제에 맞서 싸운 일본 여성 '가네코 후미코'
- # 관동 조선인대학살 100년과 ‘박열사건’의 진상1923년 9월 1일 오전 11시 58분 일본 도쿄를 비롯한 간토(관동) 일대에 일어난 대지진의 혼란과 공포 와중에 학...
- 2023-09-05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82] 미 전략정보국(OSS)과 함께 하는 항일전선 구축한 '노태준'
- [이승준 기자] 노태준, 1911 ~1970, 독립장 (1968)동모들! 3천만 백의동포의 행복을 위하야 최후까지 지성으로 분투하자! 우리의 전도는 형극(荊棘)과 광명의 착잡한...
- 2023-08-13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81] 경술국치에 반대하는 서명운동 개진한 '유인석'
- [이승준 기자] 유인석, 1842 ~1915, 대통령장 (1962)진실로 위급존망의 때입니다. 각자 거적자리를 깔고 방패를 베개 삼아 물불을 가리지 말아야 합니다. 아무리 어...
- 2023-08-13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80]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한 '안중근'
- [이승준 기자] 안중근, 1879 ~1910, 대한민국장 (1962)내가 한국독립을 회복하고 동양평화를 유지하기 위하여 3년 동안을 해외에서 풍찬노숙하다가 마침내 그 목적...
- 2023-08-02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79] 의열 투쟁의 효시...강렬한 독립 의지 세계에 알린 '강우규'
- [이승준 기자] 강우규, 1855 ~1920, 대한민국장 (1962)“내가 죽는다고 조금도 어쩌지 말라. 내 평생 나라를 위해 한 일이 아무 것도 없음이 도리어 부끄럽다. 내...
- 2023-08-02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78] 대한민국 애국부인회 회장으로 활동한 '김마리아'
- [이승준 기자] 김마리아, 1892 ~1944, 독립장 (1962)선생은 1892년 6월 18일 황해도에서 아버지 김윤방(金允邦)과 어머니 김몽은(金蒙恩) 사이의 세자매 가운데 막내로...
- 2023-06-26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77] 천안 아우내장터 만세운동 주도한 '유관순'
- [이승준 기자] 유관순, 1902 ~1920, 대한민국장 (2019), 독립장 (1962)선생은 1902년 충남 목천군 이동면 지령리 (현재 천안시 병천면 용두리)에서 아버지 유중권(柳重...
- 2023-06-26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76] 식민사학에 대항키 위해 진단학회 창립자 '이윤재'
- [이승준 기자] 이윤재, 1888 ~1943, 독립장 (1962)우리는 꼭 바라고 나아갈 희망 한 가지가 있다. 그를 여기에서 기다랗게 말하지 않더라도 우리는 모를 리 없다. 이 ...
- 2023-06-15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75] 의병 거목 31세의 나이에 쓰러진 '신돌석'
- [이승준 기자] 신돌석, 1878 ~1908, 대통령장 (1962)누(樓)에 오른 나그네 갈 길을 잊고/낙목이 가로놓인 조국을 탄식하네/남아 27세에 이룬 일이 무엇인가/문뜩 가을...
- 2023-06-15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74] 대한독립군 편성해 봉오동전투에서 대승거둔 '홍범도'
- [이승준 기자] 홍범도 , 1868 ~1943 , 대한민국장 (2021) , 대통령장 (1962)"천도( 天道)가 순환하고 민심이 응합하야, 아(我) 대한독립을 세계에 선포한 후 상(上)으로 ...
- 2023-06-11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73] 러시아로 망명해 독립운동 전개...고구려 발해사 살리는 '국사(國史)' 발간한 '장도빈'
- [이승준 기자] 장도빈, 1888 ~1963, 독립장 (1990)'국가라는 것은 무엇을 말함인가 국민을 모아 이룬 것이오. 국정이란 것은 무엇을 말함인가 국민이 그 일 을 자...
- 2023-05-29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72] 발해농장 설립하고, 독립투쟁 기반 마련한 '안희제'
- [이승준 기자] 안희제, 1885 ~1943, 독립장 (1962)'지금 우리의 사회는 모든 일을 창조할 때이다. 계림팔도를 통하여 기성(旣成)의 인재를 찾는 것은 하늘에서 혜성...
- 2023-05-29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71] “만세 불러 독립 일깨우자” 3․1운동 주도한 '손병희'
- [이승준 기자] 손병희, 1861 ~1922, 대한민국장 (1962)"우리가 만세를 부른다고 당장 독립이 되는 것은 아니오. 그러나 겨레의 가슴에 독립정신을 일깨워 주어야 하...
- 2023-05-22
- 황준호의 융합건축더보기
-
-
- [황준호의 융합건축12] 융합의 건축, 휴먼 플랫폼을 만드는 건축가들
- # 건축가는 융합의 길을 간다!인간은 부모에게 생명을 받고 태어나서 평생을 살다고 생을 마감한다. 건축가는 건축을 만나 전공하면서 평생 건축의 길을 가면서 건축가로서 생을 마감한다.일반적으로 건축가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건축가(建築家)는 예술과 달리 법(法) 안에서 건물을 건축시, 계획을 세우고 설계하고 감독하는 사람이며, 건...
-
- [황준호의 융합건축11] 공간소비의 메타(META)스토리
- # 공간을 소비하는 맞춤형 시대가 지금여기우리 안에 있다!자본주의 공장의 수많은 제품들의 생성사 과정을 들여다 본다면 상당히 흥미로운 점들이 많을 것이다. 혁신을 추구하는 연구소와 공장에서 만들어지는 프로세스 시스템는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다. 수많은 가게들과 슈퍼 대형마트 그리고 온라인 및 TV 홈쇼핑, 라방 등등 에서 ...
-
- [황준호의 융합건축10] 포근한(cozy)공간의 틈새미학
- 정말 포근했던 적을 기억하는가, 우리는 ? 품, 틈, 털, 뭉게구름, 솜이불 그 이상의 가치들.....엄마의 품속처럼 포근한 곳이 또 어디 있을까, 과연 엄마의 품속이 거위털보다 더 포근할까 싶지만 또다른 무엇이 있기에 우리들은 주저없이 엄마의 품속을 그리워한다. 생명 탄생의 주역인 어머니의 품안이 우리 삶 속에서도 지속된다면 얼마나 ..
-
- [황준호의 융합건축9] 로컬(LOCAL)의 환경캔버스 장소성의 부활
- 한국의 로컬(현재성을 가진 지역의 뜻)이 소멸하고 있지만 소생할 희망은 무엇인가? 감사원은 앞으로 30년 이내에 229개 지역 중에서 소멸의 고위험군이 157개소나 된다고 한다. 그 위험의 핵심을 인구소멸을 통한 인구기반 공동체의 붕괴로 전망하였다. (참고, '저출산·고령화 대책 성과분석'과 '인구구조 변화 대...
- 기획연재더보기
-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90] 군자금 모금 통고문 일본 헌병에 넘겨준 패륜 악덕지주 처단한 후 체포돼 순국한 '김한…
- [이승준 기자] 김한종, 1883 ~1921, 독립장 (1963)우리 4천년 종사는 회진(灰塵)되고 우리 2천만 민족은 노예가 되었다. 섬오랑캐(島夷:일제)의 악정폭행(惡政暴行)은 일가월증(日加月增)하니 이것을 생각하면 피눈물이 끓어올라 조국을 회복하고자 하는 염(念)을 금할 수 없다. 이것이 본회가 성립된 소이(所以)이니, 각 동포는 그 지닌 바 능력을 ..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89] 조선의용대 병력과 함께 광복군에 합류...민족혁명당 감찰위원으로 광복 때까지 헌신 '…
- [이승준 기자] 이종건, 1906 ~1960, 독립장 (1977)1935년 7월 5일 우리는 중국 수도 남경에서 5당을 통일하여 전민족군 진영―조선민족혁명당을 창립하였다. 이는 수십년래 조선혁명통일운동의 최대 성공인 동시에, 또 국외 독립당촉성회와 국내 신간회의 혁명적 전통의 광휘한 계승인 것이다. 조선민족혁명당은 성립 당시부터 그의 최고 목표는, ..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88] 양진여 “나라 독립을 원하며 이 내 목숨은 아깝지 않다.”
- [이승준 기자] 양진여, 1860 ~1910, 독립장 (1977)무릇 왜적(倭賊)은 우리의 하늘에 사무치는 원수인 것이다. 왜적의 머리는 무슨 쇳덩이기에 우리 칼날이 들어가지 않으며, 왜적의 몸은 무슨 돌덩이기에 우리의 총탄이 박히지 않겠는가. 오늘 행하지 못하면 내일 행할 것이요, 금년에 죽이지 못하면 내년에는 기필코 죽이기로 맹서하였다. - 선생..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87] 이동녕 “강력한 항일전을 수행하기 위해서 광복군을 결성해야 한다.”
- [이승준 기자] 이동녕, 1869 ~1940, 대통령장 (1962)여러 학생들이여 우리의 용기가 좌절하였는가. 아니다. 우리의 정열이 식었는가. 아니다. 우리 민족의 유일한 요구인 독립에 대한 결심은 더욱 견고할 뿐입니다. 오늘에 우리는 우리의 의사를 한번 더 분명히 발표하기 위하여 다시 두 손을 높이 듭시다. 적의 간담이 서늘하도록 천지가 울리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