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 왕릉 이어보기 32] 고종과 명성황후의 묘 ‘홍릉洪陵’
- [이승준 기자] 홍릉은 대한제국 1대 고종태황제와 명성태황후 민씨의 능으로, 기존 조선왕릉의 형식과 다른 대한제국 황제릉의 형식으로 조성됐다. 이는 고종...
- 2022-08-02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31] 순종과 순명황후.순정황후의 능 ‘유릉裕陵’
- [이승준 기자] 유릉은 대한제국 2대 순종효황제와 첫 번째 황후 순명효황후 민씨와 두 번째 황후 순정효황후 윤씨의 능으로, 유릉은 합장릉의 형태로 한 봉분 ...
- 2022-08-02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30] 철종과 철인황후의 능 '예릉睿陵'
- [이승준 기자] 예릉은 조선 25대 철종장황제와 철인장황후 김씨의 능이다. 하나의 곡장 안에 왕과 왕비의 봉분을 나란히 조성한 쌍릉 형식으로 정자각 앞에서 ...
- 2022-08-01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29] 24대 헌종과 효현황후·효정황후의 능 '경릉景陵'
- [이승준 기자] 경릉은 조선 24대 헌종성황제와 첫 번째 왕비 효현성황후 김씨와 두 번째 왕비 효정성황후 홍씨의 능으로, 경릉은 세 개의 봉분을 나란히 조성한...
- 2022-07-31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28] 추존 문조와 신정황후의 능 ’수릉綏陵‘
- [이승준 기자] 수릉은 추존 문조익황제와 신정익황후 조씨의 능으로, 수릉은 한 봉분 안에 왕과 왕비를 같이 모신 합장릉(合葬陵)의 형식이다. 보통의 합장릉...
- 2022-07-31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27] 23대 순조와 순원황후의 능 ‘인릉仁陵’
- [이승준 기자] 인릉은 조선 23대 순조숙황제와 순원숙황후 김씨의 능으로, 인릉은 같은 봉분에 왕과 왕비를 같이 모신 합장릉의 형식이다. 우왕좌비(右王左妃)...
- 2022-07-31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26] 22대 정조선와 효의황후의 능 ‘건릉健陵’
- [이승준 기자] 건릉은 조선 22대 정조선황제와 효의선황후 김씨의 능으로, 건릉은 같은 봉분에 왕과 왕비를 같이 모신 합장릉의 형식이다.진입 및 제향공간에...
- 2022-07-30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25] 추존 장조와 헌경의황후 홍씨의 능 ‘융릉隆陵’
- [이승준 기자] 융릉은 추존 장조의황제와 헌경의황후 홍씨의 능으로 합장릉의 형태로, 1789년(정조 13)에 배봉산에서 현재의 자리로 옮기면서 현륭원(顯隆園)으...
- 2022-07-30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24] 추존 진종-효순소황후 조씨의 능 ‘영릉永陵’
- [이승준 기자] 영릉은 추존 진종소황제와 효순소황후 조씨의 능이다. 영릉은 같은 언덕에 왕과 왕비의 봉분을 나란히 조성한 쌍릉의 형식으로 정자각 앞에서 ...
- 2022-07-30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23] 21대 영조와 정순왕후 김씨의 능 ‘원릉元陵’
- [이승준 기자] 원릉은 조선 21대 영조와 두 번째 왕비 정순왕후 김씨의 능으로, 쌍릉의 형태이며 정자각 앞에서 바라보았을 때 왼쪽(서쪽)이 영조, 오른쪽(동쪽)...
- 2022-07-28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22] 20대 경종과 선의왕후 어씨의 능 ‘의릉懿陵’
- [이승준 기자] 의릉은 조선 20대 경종과 두 번째 왕비 선의왕후 어씨의 능이다. 의릉은 같은 언덕에 왕과 왕비의 봉분이 앞뒤로 나란히 배치한 동원상하릉의 형...
- 2022-07-28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21] 19대 숙종과 인현왕후.인원왕후 '명릉明陵'
- [이승준 기자] 명릉은 조선 19대 숙종과 두 번째 왕비 인현왕후 민씨와 세 번째 왕비 인원왕후 김씨의 능이다. 명릉은 같은 능역 안에 하나의 정자각을 세우고 ...
- 2022-07-27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20] 18대 현종과 명성왕후 김씨의 능 '숭릉崇陵'
- 숭릉 정자각(항공 사진)[이승준 기자] 숭릉은 조선 18대 현종과 명성왕후 김씨의 능으로, 숭릉은 하나의 곡장 안에 봉분을 나란히 배치한 쌍릉(雙陵)형식이다. ...
- 2022-07-25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19] 제17대 임금 효종과 비 인선왕후의 동원상하릉 ‘영릉’
- 효종 영릉[이승준 기자] 영릉은 조선 제17대 임금 효종과 비 인선왕후의 동원상하릉이다. 왕릉과 왕비릉이 한 언덕에 같이 있는 경우 대개는 봉분을 나란히 두...
- 2022-07-25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18] 16대 인조와 첫 번째 왕비 인열왕후 한씨의 능 ‘장릉長陵’
- [이승준 기자] 장릉은 조선 16대 인조와 첫 번째 왕비 인열왕후 한씨의 능으로 합장릉의 형식이다. 장릉은 원래 파주 운천리에 있었다가 1731년(영조 7)에 현재의...
- 2022-07-24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17]추존 원종과 인헌왕후의 능 ‘장릉章陵’
- [이승준 기자] 장릉은 추존 원종과 인헌왕후 구씨의 능이다. 장릉은 같은 언덕에 왕과 왕비의 봉분을 나란히 조성한 쌍릉의 형식으로 정자각 앞에서 바라보았...
- 2022-07-23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16] 제15대 광해군.문성군부인 광해군묘(光海君墓)
- [이승준 기자] 광해군묘는 조선 15대 광해군과 문성군부인 류씨의 묘소이다. 묘소는 왕자 묘제의 예로 조성됐다. 쌍분의 형태로 조성돼 병풍석과 난간석을 생...
- 2022-07-23
-
- [조선 왕릉 이어보기15] 14대 선조와 첫 번째 왕비 의인왕후.인목왕후 김씨의 능 ‘목릉穆陵’
- [이승준 기자] 목릉은 조선 14대 선조와 첫 번째 왕비 의인왕후 박씨와 두 번째 왕비 인목왕후 김씨의 능이다. 목릉은 같은 능역 안에 각각 다른 언덕에 능침을 ...
- 2022-07-19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14] 13대 명종과 인순왕후 심씨의 능 ‘강릉康陵’
- [이승준 기자] 강릉은 조선 13대 명종과 인순왕후 심씨의 능으로, 강릉은 같은 언덕에 왕과 왕비의 봉분을 나란히 조성한 쌍릉의 형식이다. 정자각 앞에서 바라...
- 2022-07-19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13] 12대 인종과 인성왕후 박씨의 능 '효릉孝陵'
- [이승준 기자] 효릉은 조선 12대 인종과 인성왕후 박씨의 능이다. 효릉은 같은 언덕에 왕과 왕비의 봉분을 나란히 조성한 쌍릉의 형식으로 정자각 앞에서 바라...
- 2022-07-19
-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
-
- [박정기의 공연산책 217] 故 신정옥 교수를 추모하며
- 1989년 셰익스피어 희곡 작품 37권을 번역해서 펴낸 신정옥(申定玉) 명지대 명예교수가 2022년 8월 19일 오전 2시6분께 노환으로 세상을 떠났다. 향년 90세.신정옥(申定玉 1932~2022)교수는 함경남도 정평 출생으로 명지대 영문학과 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명지대 명예교수였다. 경북대를 거쳐 이화여대 대학원을 졸업한 뒤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
- [박정기의 공연산책 216] 프로젝트 아일랜드, 서지혜 연출 '장녀들'
- 아트원 씨어터 3관에서 프로젝트 아일랜드의 시노다 세츠코 작 서지혜 연출의 장녀들을 관람했다.시노다 세츠코(Setsuko Shinoda,しのだ せつこ,篠田 節子)는 1955년 도쿄 도 하치오지(八王子) 시에서 태어났다. SF나 모험활극에 심취해 있던 어린 시절, 코난 도일의 『잃어버린 세계』에 큰 감명을 받고 작가의 꿈을 꾸었다. 도쿄 학예대학 교육학.
-
- [박정기의 공연산책 215] 주 아크 컴퍼니-바스트 엔터테인먼트 공동제작, 이순재 연출 '갈매기'
- 유니버설 아트센터에서 주 아크 컴퍼니와 바스트 엔터테인먼트 공동제작 안톤체홉 작 이순재 연출의 갈매기를 관람했다.안톤 체홉(러시아어 Анто́н Па́влович Че́хов, 영어 Anton Pavlovich Chekhov,문화1860~ 1904)은 의사, 소설가, 극작가다.체호프는 모스크바 예술극단과의 유대가 강했고, 직접 무대에 서기도 했다. 1901년에 결혼한 “올...
-
- [박정기의 공연산책 214] 성북문화재단과 연극집단 반, 김지은 연출 '예의와 관습'
- 길음동 꿈빛극장에서 성북문화재단과 연극집단 반의 베르톨트 브레히트 작 김지은 연출의 예의와 관습을 관람했다.베르톨트 브레히트(Bertolt Brecht·1898∼1956)는 독일 아우구스부르크(Augsburg)에서 종이 공장에서 일하던 아버지 베르톨트 프리드리히 브레히트(Berthold Friedrich Brecht)와 브레칭(Brezing)에서 태어난 어머니 조피(Sofie)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