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서울시 구석 구석 139] 급격한 사회변동-민족 정체성 새로이 인식했던 시기
  • 이승준 기자
  • 등록 2022-12-23 08:13:26
  • 수정 2024-04-10 10:32:03

기사수정
  •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2), 근대화와 민족운동사실

[이승준 기자] 한국근대사와 관련한 희귀자료들을 접할 수 있는 근대화와 민족운동사실에서는 급격한 사회변동을 겪으면서 민족의 정체성을 새로이 인식했던 한국의 근대사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17세기 이래 도입된 서양과학기술서적과 문물, 실학자들의 각종 저서와 고지도에서 조선후기 사회변화 양상을 살펴볼 수 있고, 안중근 의사의 친필 글씨 등 독립운동자료는 선열들의 독립정신을 느끼게 해준다. 



조선 후기 실학(實學)이 등장하고 서양문물, 곧 서학(西學)의 수용으로 전통사회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이뤄지면서 조선사회는 동요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조선사회는 시대적 변화에 상응하는 과제를 수행하지 못하고 불평등조약으로 대외개방이 가속화되면서 서구 열강의 침략에 직면하게 됐다. 


이에 개화 선각자들을 중심으로 근대적 개혁이 시도되고, 독립협회를 비롯한 여러 애국계몽단체들이 자주적 근대국민국가를 건설하기 위해 매진했으나 일제의 무단침략으로 결국 좌절되고 만다. 일제강점하에서 우리민족은 일제의 경제적 약탈과 강압에 굴하지 않고 국내는 물론이고 해외에서도 끊임없이 저항하면서 독립운동을 전개하했다. 일제의 잔혹한 민족말살정책에도 민족 보전 및 국가 독립을 위한 노력은 결실을 맺어 마침내 해방을 맞게 된다.



근대화와 민족운동사실에는 이와같은 전통과 근대, 척사와 개화, 민족운동과 저항이라는 근대사의 갈등관계를 함축적으로 보여주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어 한국근대사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서양의 천문지리 관련유물 등의 서학자료와 실학자료를 통해 근대의식의 형성과정을 살펴볼 수 있고, 타율적 개항에 의한 세계질서로의 편입과정에서 봉건과 반봉건 움직임, 외세의 침략과 민족의식의 성장, 개화운동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제강점 이후 3.1운동, 광주학생운동 등 독립운동자료와 일제의 독립운동 탄압자료에서 굴절된 식민지 역사를 개관할 수 있다.


# 서학의 수용과 실학의 전개 


운해훈민정음조선후기 임진왜란(壬辰倭亂)과 병자호란(丙子胡亂)을 거치면서 성리학의 지도이념이 사회개혁의 요구를 담아내지 못하자 조선사회의 통치질서는 동요하기 시작했다. 서학(西學)의 수용과 실학(實學)의 등장은 이러한 조선사회의 모순을 해결코자하는 인식에서 출발했다. 


서학은 좁은 의미로는 천주교(天主敎)를 뜻하지만 넓은 의미로는 서양에서 전래된 종교를 포함한 사상과 각종 문물을 일컫는다. 중국을 통한 천문 역법 산학 지리 종교 등 서학관련 서적의 유입은 봉건적 세계관에 갇혀 있던 지식인들을 각성케 하는 계기가 됐고, 그들의 서구 과학문물에 대한 적극적 관심은 봉건적 사고의 탈피와 근대적 지식체계의 수용과정이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된다. 


발해고실사구시(實事求是)와 이용후생(利用厚生)을 표방하면서 등장한 실학은 실생활의 이익을 목표로 정치 경제 지리 천문 금석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연구를 진척시켰다. 농업중심의 개혁을 주장한 경세치용학파(經世致用學派), 상공업의 번영을 통해 사회발전을 꾀했던 이용후생학파(利用厚生學派), 금석(金石) 전고(典故)의 고증을 위주로 하는 실사구시학파(實事求是學派)로 구분되는 실학의 학문적 경향 은 19세기 초반 정약용에 의해서 집대성됐다. 이러한 실학은 전통적인 성리학적 질서를 비판하고 서구의 사상과 선진문물을 적극 수용키 위해 근대화의 학문적, 이념적 배경이 됐다.


연행사절단의 선교사 접촉 


(좌) 연행일기, (우) 북연기행16세기 말경 청나라에 들어온 가톨릭이 조선에 전해진 것은 외부 세계와의 유일한 통로인 사신 왕래를 통해서였다. 일찍이 병자호란 패배로 청나라에 볼모로 갔던 소현세자는 예수회 신부 아담 샬(Adam Shall, 湯若望)과 교유하면서 서구과학 지식에 관심을 갖게 됐고, 서양과학기술 서적과 기물을 들여왔다. 그러나 본격적인 교류는 한.중간의 정기 외교사절이었던 입연사행(入燕使行), 부경사행(赴京使行)에 의해 이뤄졌다. 이들 가운데 일부는 그곳에 있는 천주교회당을 찾아보고 선교사들과 대화를 나누면서 서학에 관심을 가졌고, 서학관계 서적과 기물을 국내에 들여왔다.


서양과학지식의 유입 



조선에서의 서양문물의 전래는 중국과의 사신왕래를 통해 이뤄졌다. 1631년(인조 9년) 명나라 사신으로 중국에 갔던 정두원(鄭斗源)이 이탈리아 신부 로드리케스(J.Rodriquez, 陸若漢)로부터 서양식 천문추산법(天文推算法)을 배우고 천문.역산(曆算).지리.천주교 등에 관한 한역서를 가져온 것을 시작으로 서양서적과 기기(器機)가 유입됐다. 


지구의소현세자는 천구의와 천문서 등의 서양과학기술 서적을 가져왔다. 이후 청에 전래된 서양의 과학기술이 적극적으로 수입되기 시작했다. 특히 17세기 이래 실학의 발달과 북학론의 대두로 천문.역학은 물론 의약.건축.조선.농업.무기제도 등 각 분야에 걸친 청국 및 서양 기술의 도입이 적극 주장되기에 이르렀다.


실학서적의 편찬과 간행 


명환지략현실개혁사상을 지녔던 실학자들은 정치제도를 비롯해 토지.신분문제 등 개혁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연구와 비판을 집중했다. 다방면에서 표출됐던 실학자들의 관심은 이수광의 《지봉유설》(芝峰類說)과 이익의 《성호사설》(星湖僿說)과 같은 백과사전적 서적 출간으로 나타났다. 신경준은 《운해훈민정음》(韻解訓民正音)을 통해 한글의 음운을 역학적으로 도해(圖解)했다. 지리에 관한 연구도 활성화돼 이중환은 《택리지》(擇里志)를 저술했고, 발해를 우리 역사의 일부로 평가한 유득공의 《발해고》(渤海考) 등이 제작됐다. 


이와 함께 지도 제작이 활발해져 정상기의 《팔도도》(八道圖),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등이 제작됐다. 그리고 토지와 생활면에 관한 관심에서 농업.축산.임업 분야의 서적이 발간됐고, 서구 과학지식에 관련되거나 중국 사신길을 통해 습득한 북학관련 서적도 다수 발간됐다.


세계관의 변화와 근대의식의 성장 


지구약론농경위주의 조선사회에서 지도자들이 가져야 할 덕목의 하나가 천문과 지리에 관한 이해였다. 그러나 그들의 천문지식과 세계지리에 대한 이해는 중화사상(中華思想)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황이었다. 그런데 연행사신(燕行使臣)들에 의해 중국에 자리잡은 서양 선교사들로부터 전해진 과학기술과 지식을 접하게 되면서 천문지리에 관한 인식의 변화가 일어났다. 조선에 서양의 천문지리 지식이 소개된 것은 1631년(인조 9년) 정두원(鄭斗源) 일행이 명(明)으로부터 천문서적을 들여오면서 비롯됐다. 


이렇게 유입되기 시작한 서구의 천문지리학은 당시 실학자들에게 수용됨으로써 점차 중국중심의 세계관이 허물어져 갔고 서양의 과학적 세계관이 확산돼 갔다. 그리하여 조선의 인문지리에 대한 새로운 조명이 됐고, 지도 제작 역시 활발하게 이뤄졌다. 천문지리학의 발전은 조선인들의 세계에 대한 안목을 넓혀줘 근대적인 의식의 성장에 바탕이 됐고 결국 봉건적인 조선사회에 동요를 불러오는 계기가 됐다.


서양 천문지식의 수용 



조선 전기에는 천문학.지리학 등이 학문영역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주로 통치의 방편으로만 연구돼 왔다. 그 때문에 이 분야는 중인신분층이 주도하는 중인의 학문이라는 통념이 지배하고 있었다. 그러나 조선후기에 이르러 중국을 통해 서양과학기술문명이 전해짐에 따라 중인뿐만 아니라 양반출신의 실학자에게까지 학문영역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중국에 소개된 서양 천문학 이론들은 17세기 초엽 이래 조선 정부에 적극적으로 수용됐다. 지구구형론(地球球形論)과 지구회전설(地球回轉說)이 받아들여졌고, 지평일구나 혼개일구와 같은 천문관측기구가 제조됐고, 서양의 역법인 시헌력(時憲曆)이 채택됐다.


세계지도의 수용 조선 초기 행정구역 개편에 따른 지도 제작이 이뤄졌고, 중국 및 세계지도의 유입에 따라 세계지도가 편집됐다. 주로 중국에서 유입된 중국지도에 조선과 일본.유구국(琉球國)을 추가해여 완성한 중국 중심의 세계지도가 제작됐다. 《천하여지도》(天下輿地圖)가 대표적이다. 그런데 17세기가 되면 중국 중심에서 벗어난 세계지도가 중국을 통해 전래됐다. 1603년에 전래된 마테오 리치(Matteo Ricci, 利瑪竇)의 《곤여만국전도》(坤輿萬國全圖)와 베르비스트(Ferdinand Verbiest, 南懷仁)의 《곤여전도》(坤輿全圖)가 대표적이다. 이러한 세계지도의 유입은 전통적인 중국중심의 화이관(華夷觀)에서 탈피하는 계기가 됐고, 한편으로 조선을 중심으로 하는 ‘소중화’(小中華) 의식이 새롭게 대두됐다.


한국지도의 발전 



우리 나라 지지학(地誌學)의 기원은 삼국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구려 고분벽화에 요동성도(遼東城圖)가 그려져 있고, 백제.신라에 지도와 지리지(地理志)가 있었다는 기록이 《삼국사기》 등에 전한다. 고려시대에 들어서도 행정구역 재편성에 따라 지도가 작성됐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북쪽 영토에 대한 관심과 국내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지도의 필요성이 부각돼 지도 제작 및 지리서의 간행이 급속하게 전개됐다. 그러나 임진왜란 이전의 한반도 지도 및 세계지도는 대부분 유실되거나 일본으로 유출됐고 현존하는 대부분의 지도는 조선 후기의 것이다. 특히 중국을 통해 천문지리학이 유입되면서 지도 제작기술이 발전했고, 17세기 이래 발달한 목판인쇄술은 세계지도 및 전국도, 지방도 등 다양한 지도 제작을 촉진했다. 김정호의 《청구도》(靑丘圖)와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의 출현으로 조선후기 지도의 발달은 절정에 달했다.


지리서의 편찬 


동국지리지조선후기 천문학의 유입과 함께 지리학 분야에서도 새로운 기풍이 조성되고 있었다. 인문지리학의 연구는 조선왕조 후기의 현실을 정확히 파악하려했던 실학자들에 의해 추진됐다. 이중환은 《택리지》(擇里志)를, 정약용은 《아방강역고》(我邦疆域考)를 저술했고, 김정호는 《대동지지》(大東地志)를 통해 각 도시의 경도와 위도를 밝히고, 조선의 인문지리적 특성을 연구했다. 최한기(崔漢綺)는 천체와 지구상의 자연.인문지리에 관한 내용을 담은 《지구전요》(地球典要)을 저술했다. 이렇듯 실학자들은 중국을 통해 세계 문명을 접하고, 세계지리학을 수용해 지리연구를 심화시켰다. 대한제국기에는 외국 선교사들에 의해 교육용 세계지리서가 보급됐다.


한국근대의 민족운동 



조선사회는 봉건적 질서에서 벗어나 근대사회로 나아가야 하는 반봉건 개화라는 과제와 제국주의 세력의 식민정책에 맞서 민족자주를 이뤄야 하는 반침략 자주라는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결국 식민지로 전락하고 말았다. 조선은 1876년 강화도조약이라는 일본에 의한 강압적 개항으로 국제사회의 일원이 됐으나 곧 서구열강의 간섭을 받게 됐다. 조선정부는 수신사.신사유람단.영선사를 파견하고, 통리기무아문을 설치하는 등 근대문물을 수용하려 했으나 위정척사의식을 지녔던 수구세력들의 반발로 성과를 볼 수 없었다. 일본은 1894년 갑오개혁 이후 노골적인 간섭으로 조선을 식민지화하려 했고 그 과정에서 한국민의 끊임없는 저항을 받았다. 독립협회로 대표되는 근대적인 정치단체의 활동이 두드러지지만 결국 해체되고, 대한제국의 외교권이 박탈된 상황에서 애국계몽단체들의 실력양성운동이 전개됐다. 애국계몽세력들은 언론출판활동에 주력하면서 국민계몽을 선도하였고, 이를 통한 민족의식의 고취와 근대사상의 유포에 주력했다. 



쇄국정책과 척사사상 1866년의 병인양요, 1871년의 신미양요를 경험하면서 조선은 서양의 침략에 경계심을 가지고 쇄국정책을 강화했다. 그러나 1876년 일본의 강요에 의해 일본과의 병자수호조약[강화도조약]으로 문호를 개방한 이후 미국(1882), 영국.독일(1883), 이탈리아.러시아(1884), 프랑스(1886) 등과 차례로 조약을 맺음으로써 세계 자본주의 체제 안에 편입됐다. 당시 조선사회는 쇄국정책으로 인해 외국의 발달한 근대문명을 수용하여 자체적인 근대화를 이루는 길이 완전히 봉쇄돼 있었다. 조선은 수공업 단계의 후진성을 극복하지 못한 채 세계시장에 개방됨으로써 선진 자본주의 국가들의 원료공급지와 상품시장이 될 수밖에 없었다. 결국 조선의 운명은 자주적 근대화 노력이 실패하면서 외세의 침략으로 좌지우지되는 수모를 겪지 않을 수 없게 됐다.


개화운동의 전개 


대한매일신보1876년 개항 이후 조선 정부는 일본과 중국에 영선사와 신사유람단을 파견해 군사.행정.과학기술 등의 선진문물과 기술을 습득케 했다. 이 때 외국을 유람하면서 선진문명에 자극을 받은 일부 개화된 인사들은 종래의 봉건적인 사회질서를 부정하고 근대 국민국가를 건설하려는 사상을 갖게 됐다. 이들 개화파 가운데 급진적인 근대화를 모색한 세력들은 1884년 갑신정변을 일으켰으나 실패했고 온건개화파들에 의해 1894년 갑오개혁이 단행됐다. 개화세력들은 정치.사회.경제적 제도개혁을 시도했고, 이와 함께 《독립신문》, 《대한매일신보》등 언론을 통해 개화사상을 퍼뜨리고 민중을 계몽하는데 노력했다. 그러나 개화파의 근대국민국가 건설 노력은 봉건적인 모순들을 근본적으로 혁파하는 국민혁명으로는 이어지지 못하였고 결과적으로 외세의 침입을 저지하는데 실패했지만 이후 독립협회의 근대국민국가 건설운동으로 계승됐다.



한말의 민족운동 한말 문명개화를 통한 근대화를 이루고 실력양성을 통한 대외 자주화를 꾀했던 지식인그룹들은 국권회복의 수단으로 신문·잡지를 발간해 민중의 구국계몽에 노력했다. 을사늑약 이후 일제의 보호통치하에서 인민의 지식계발과 경제력 향상을 통해 민족의 실력양성에 매진했던 애국계몽운동세력들은 신문 및 잡지 발간으로 민중 계몽에 주력했다. 당시 발간된 《황성신문》.《대한매일신보》.《제국신문》.《만세보》(萬歲報).《대한민보》 등은 지면을 통해 전근대적인 민중의 근대적 국민화, 실력양성을 통한 국권 회복을 강조했다. 또한 대한자강회, 대한협회, 그리고 서북학회를 비롯한 학회들은 회지(會誌)를 발간해 교육.식산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실력양성과 국권회복 의지를 피력했다.


일본식민 통치와 민족운동



1910년 조선을 식민지화한 일제는 조선총독부를 설치하고 헌병경찰제를 통한 ‘무단통치’를 감행했다. 자주민족세력에 대한 탄압과 토지조사사업을 통한 양민의 경제적 수탈이 극심한 상태에서 발생한 ‘3·1운동’은 일제의 식민정책을 ‘문화정치’로 전환케 했으나 실제적인 탄압은 지속됐고 경제적 수탈 역시 산미증식계획 등으로 계속됐다. 1930년대 이후 대륙침략이 본격화되면서 물적 수탈과 강제적인 인적 동원이 자행됐고 민족말살정책의 일환으로 황국신민서사(皇國臣民誓詞), 신사참배(神社參拜), 창씨개명(創氏改名) 등을 강요했다. 삼일운동 이후 중국에 설립된 임시정부와 만주의 독립군를 중심으로 해외의 독립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됐고, 국내에서도 6.10만세운동, 광주학생운동 등의 항일시위운동과 소작쟁의, 노동쟁의 등의 경제투쟁, 그리고 국학운동 등의 문화운동이 끊임없이 전개됐다. 특히 임시정부는 항일독립운동의 중심지 역할을 담당하면서 해외의 민족운동을 주도했다. 국내에서는 민립대학설립운동과 같이 민족교육 보급 노력이 활발히 이뤄졌고, 물산장려운동으로 민족기업을 보호, 육성하고자 하면서 민족운동의 역량을 키웠나갔다. 이러한 항일민족운동은 8·15해방의 밑거름이 됐다.


3·1운동 


(좌) 광주지역 3.1운동 관련자 판결문/(우) 원산지역 3.1운동 관련자 판결문일제의 무단적 식민통치가 전개되던 1919년 3월 1일 민족대표 33명의 이름으로 독립선언서가 발표되면서 거족적인 항일독립운동이 일어났다. 이 운동은 일제의 식민통치에 큰 타격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우리 민족의 의식과 독립운동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3·1운동은 종교인들이 주도해 전개됐는데 33인 민족대표 중 16명이 기독교인이었다. 이 운동의 계획, 준비단계에서부터 적극 관여했던 한국교회는 조직과 지도자를 제공하고 국내외를 막론하고 운동의 전 과정에서 직간접적으로 참여했다. 이런 이유로 한국교회는 일제의 집중적인 탄압의 대상이 됐고, 그 피해는 엄청났다. 기독교계의 조직적 참여는 외래종교라 하여 비판적으로 보던 한국사회의 인식을 바꾸어 놓았고, 기독교가 민족종교로 인정받게 된 직접적 계기가 됐다.


임시정부활동 


독립운동에 관한 건3.1운동 직후 조국 광복을 위한 독립운동의 거점을 마련키 위해 임시정부가 수립됐다. 1919년 4월 11일 상해 임시정부는 임시의정원(臨時議政院)을 구성하고 각 도 대의원 30명이 모여서 임시헌장 10개조를 채택 발표했고, 4월 17일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조직해 관제를 발표했다. 초대 각료로 임시의정원 의장 이동녕(李東寧), 국무총리 이승만(李承晩), 내무총장 안창호(安昌浩), 외무총장 김규식(金奎植) 등이 임명됐다. 임시정부는 독립운동의 자금 확보를 위한 연통제(聯通制)를 실시하고 독립신문을 발행해 독립사상의 고취에 힘썼다. 이와 함께 임시정부는 의열투쟁과 독립군단체 지원.광복군 창설 등 항일독립투쟁을 전개했다. 1941년 태평양전쟁이 일어나자 일본에 선전포고를 하고 연합군의 일원으로 미얀마 등지에 군대를 파견했다. 1945년 미군과 함께 국내 진입작전을 계획하던 중 8.15해방을 맞았다. 


일제하 광주학생운동 



1919년 3.1운동과 1926년 6.10만세운동 이후 항일민족의식은 더욱 고조됐고, 이에 일제의 탄압은 날로 강화됐다. 1929년 광주에서 여학생 희롱사건으로 촉발됐던 광주학생운동은 그간 누적된 반일감정의 폭발이었다. 이 사건은 전국적인 학생들의 항일투쟁으로 발전해 일제 강점기 전개된 최대규모의 학생운동이 됐다. 전국 200여 학교에서 5만여 명이 참가했고, 구속된 학생수만도 1,700여 명에 이르렀다.


일제의 민족말살정책 



일제는 1930년대에 들어 항일운동 탄압정책을 강화함과 동시에 한국인을 일본인화하고 세계대전의 제물을 삼으려는 정책을 취했다. 1937년 중일전쟁 이후, 일제는 민족운동 발발 억제 및 전쟁에 대한 협력을 강요하기 위해 민족말살정책을 실시했다. 일제는 ‘내선일체론(內鮮一體論)’, ‘일시동인론(一視同仁論)’ 및 ‘일선동조론(日鮮同祖論)’ 등을 주장하면서 한국의 말과 글, 혼을 빼앗고자 했다. 그리하여 ‘황국신민의 서사’ 제창, 조선어교육 폐지, 창씨개명, 일장기 게양, 황궁요배, 신사참배, 정오묵도 등을 모든 한국인이 의무적으로 하도록 강요했다.


8·15해방 



1945년 8월 15일, 전쟁에서 패망한 일본이 포츠담 선언을 받아들임으로써 한국은 해방의 감격을 맞게 됐다. 해방의 기쁨도 잠시였고 한국은 친일잔재를 청산하고 독립국가 건설의 과제에 당면하게 됐다. 그러나 남북한지역에는 미국과 소련이 주도하는 군정이 설치됐고 한국인의 자주적인 정치활동은 일제와 치열하게 싸웠던 민족운동세력이 배제된 채 이들 군정의 영향을 받게 됐다. 이후 모스크바 삼상회의의 신탁통치안이 한국에 전해지자 국내의 정치세력은 신탁통치 찬반론으로 나뉘어졌고, 이는 반공.반소.단독정부 수립운동으로 이어졌고 급기야 한민족은 남과 북으로 분단됐다. 이와 같이 한국은 해방을 계기로 자주독립국가 실현의 기회를 맞았지만, 해방 자체가 태평양전쟁의 결과에 의한 것이었고 그 결과 미국과 소련이 자신들의 국익을 위해 한국문제에 적극 간섭함으로써 민족분단의 아픔을 겪게 됐다./다음호에 계속(사진-박광준 기자]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한국의 전통사찰더보기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조선왕릉 이어보기더보기
 한국의 서원더보기
 전시더보기
 한국의 향교더보기
 문화재단소식더보기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