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河東 雙磎寺 眞鑑禪師塔碑)
  • 이승준 기자
  • 등록 2021-11-11 15:46:31
  • 수정 2023-12-21 13:59:41

기사수정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사진-문화재청 

[이승준 기자] 통일신라 후기의 유명한 승려인 진감선사의 탑비이다. 진감선사(774∼850)는 불교 음악인 범패를 도입해 널리 대중화시킨 인물로, 애장왕 5년(804)에 당나라에 유학해 승려가 됐고, 흥덕왕 5년(830)에 귀국해 높은 도덕과 법력으로 당시 왕들의 우러름을 받다가 77세의 나이로 쌍계사에서 입적했다. 


비는 몸돌에 손상을 입긴 했으나, 아래로는 거북받침돌을, 위로는 머릿돌을 고루 갖추고 있는 모습이다. 통일신라 후기의 탑비양식에 따라 거북받침돌은 머리가 용머리로 꾸며져 있고, 등에는 6각의 무늬가 가득 채워져 있다. 


비문/사진-문화재청 

등 중앙에는 비몸돌을 끼우도록 만든 비좌(碑座)가 큼지막하게 자리하고 있는데, 옆의 4면마다 구름무늬가 새겨져 있다. 직사각형의 몸돌은 여러 군데가 갈라져 있는 등 많이 손상된 상태이다. 


머릿돌에는 구슬을 두고 다투는 용의 모습이 힘차게 표현돼 있고, 앞면 중앙에는 ‘해동고진감선사비’라는 비의 명칭이 새겨져 있다. 꼭대기에는 솟은 연꽃무늬위로 구슬모양의 머리장식이 놓여 있다. 


이수/사진-문화재청 

진성여왕 원년(887)에 세워진 것으로, 진감선사가 도를 닦던 옥천사를  ‘쌍계사’로 이름을 고친 후에 이 비를 세웠다 한다. 당시의 대표적인 문인이었던 최치원이 비문을 짓고 글씨를 쓴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붓의 자연스런 흐름을 살려 생동감 있게 표현한 글씨는 최치원의 명성을 다시금 되새기게 할 만큼 뛰어나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한국의 전통사찰더보기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조선왕릉 이어보기더보기
 한국의 서원더보기
 전시더보기
 한국의 향교더보기
 문화재단소식더보기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