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법원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김건희 여사 계좌 3개 동원 인정
  • 박광준 기자
  • 등록 2023-02-14 08:35:54

기사수정


[박광준 기자]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에서 법원이 유죄로 본 시세조종에 김건희 여사 명의의 계좌 3개도 동원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3부(부장판사 조병구)는 지난 10일 선고한 권오수 전 도이치모터스 회장 등의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 등 사건 1심 판결에서 2010년 10월 이후의 거래 중 상당수를 시세조종으로 인정했다.


그러면서 김 여사와 어머니 최은순 씨의 계좌가 시세조종에 동원됐는지도 판단했다.


재판부는 김 여사 계좌 3개와 최 씨 계좌 1개가 각각 유죄로 인정된 시세조종 행위에 동원된 차명 또는 위탁 계좌로 봤다.


김 여사 명의 계좌 중 1개에선 2010년 11월 1일 주포 김 씨와 주가조작 가담자 민모 씨 사이에 '3,300에 8만 개 때려달라', '준비시킬게요' 등의 문자메시지가 오간 직후 메시지와 같은 내용의 주문이 나온 것으로 조사됐다.


재판부는 이를 거론하면서 "이 주문들은 피고인들 사이에 연락이 이뤄진 결과로 볼 수 있다"면서, "이 계좌가 시세조종에 이용된 것으로 인정된다"고 판단했다.


이와 함께 "이 계좌에서 직접 주문을 낸 건 누구인지 확정할 수는 없다"면서도 "피고인 권오수 또는 피고인 이모 씨에게 일임됐거나 적어도 이들의 의사나 지시에 따라 운용된 계좌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검찰은 지난해 12월 2일 공판에서 김 씨와 민 씨 사이의 문자메시지 직후 김 여사 계좌에서 실제 실행된 기록을 제시하면서 "이 거래는 김건희 씨가 직접 증권사에 전화해 거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매도 물량은 민 씨의 증권 계좌로 매수됐다.


김 여사 명의 계좌 중 남은 2개의 거래 내역은 주가조작 선수 중 한 명이 운영하던 투자자문사 컴퓨터에서 2011년 1월 13일 작성한 '김건희'라는 제목의 엑셀 파일에 기록으로 정리돼 있었다.


재판부는 이러한 점을 토대로 이 2개의 계좌가 주포 김 씨를 비롯한 주가 조작 선수들이 직접 관리.운용하면서 시세 조종에 이용한 계좌로 인정된다고 봤다.


최은순 씨 명의의 계좌 1개는 권 전 회장이 자신의 차명계좌 형식으로 직접 운영하며 관리했다고 재판부는 판단했다.


이들 4개 계좌는 모두 공소시효가 남은 2010년 9월부터 2011년 4월 사이 2단계 주가조작 시기에 등장한다.


이와 관련해 김 여사 측은 지난해 대선 과정에서 2단계 기간 주식 거래가 드러나 논란이 되자 "1단계 주포 이 씨에게 돌려받은 주식을 정리하기 위한 개인적 거래였으며 주가 조작 세력에게 계좌를 빌려준 것도 아니었다"고 주장했다.


재판부는 또 "제1단계에 이어 제2단계에서도 연속적으로 위탁된 계좌는 김 여사, 최 씨 명의의 계좌 정도"라고 판결문에 적었다.


주가조작 세력에 계좌를 빌려준 약 90명 중 1.2단계 세력 모두에게 계좌를 빌려준 사람이 김 여사와 최 씨 둘뿐이라는 것이다.


다만 김 여사의 계좌가 주가조작에 이용됐다는 사실만으로 주가조작의 공범으로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검찰은 시세조종에 총 157개의 계좌가 동원된 것으로 판단했지만 단순히 계좌를 빌려주거나 투자를 위탁하기만 한 이들은 기소하지 않고 직접 자신 또는 가족의 계좌로 주식을 매매하면서 주가조작에 가담한 이는 공범으로 재판에 넘겼다.


손모 씨는 자신과 배우자, 그가 운영하던 회사 명의 계좌 4개로 도이치모터스 주식을 대거 매매해 기소됐다.


이런 대규모의 거래가 시세조종을 위한 통정매매나 의도적인 고가매수였다는 것이 검찰의 판단이었다.


그러나 재판부는 "손씨가 도이치모터스 주식에 관해 이른바 '작전'이 행해지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이긴 하지만, 이에 편승해 주식을 매수하고 시세차익을 얻으려는 의도로 주식을 매수한 것으로 짐작된다"며 무죄를 선고했다.


이어 "(손씨가) 많은 자금을 동원해 공격적으로 주식을 매수하는 성향이 있어 그중 일부 매수주문이 고가매수가 되거나 우연히 통정매매로 분류됐을 뿐 시세 변동 목적이 있었다고 볼 만한 사정은 보이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를 고려할 때 김 여사가 자신의 계좌가 주가조작에 동원되는 것을 인지하고 이를 위탁했거나, 주가조작 가담자와 사전에 연락을 주고받은 뒤 시세조종을 위해 주식을 거래했다는 점이 증거를 통해 명확히 입증돼야 공범으로 인정될 것으로 보인다.


김 여사는 이 사건과 관련해 아직 검찰 소환 조사를 받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판결문을 검토한 뒤 다른 관련자들에 대한 수사·기소와 항소 여부 등을 결정할 방침이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반려동물관리사 교육과정 모집
 Campus 라이프더보기
 건강·병원더보기
 법률/판결더보기
 교육더보기
 보건더보기
 환경더보기
 지역더보기
리스트페이지_R002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