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동아시아 시각에서 본 병자호란...국립진주박물관 특별전 개최
  • 이승준 기자
  • 등록 2022-12-14 03:06:17

기사수정


[이승준 기자] 동아시아적 시각에서 병자호란의 실상을 들여다보는 특별전 '병자호란'이 내년 3월 26일까지 국립진주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에는 국보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를 비롯해 병자호란 관련 문화재 100건 252점(국보 1건, 보물 2점 포함)이 출품된다.


이 가운데 병자호란 당시 남양부사 윤계(尹棨, 1603∼1636)가 청군에게 죽은 내용을 그린 '남양부사 순절도(南陽府使 殉節圖)' 등이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된다. 


전시는 총 4부로 구성된다. 먼저 1부는 1618년 명나라가 후금을 공격하기 위해 조선군의 파병을 요청할 때부터 1627년 후금이 조선을 침공할 때까지의 주요 인물과 사건을 다룬다.


광해군 대의 역사를 기록한 '광해군일기', 광해군의 잘못된 정치를 바로잡는다는 명분으로 왕위에 오른 인조의 금보(金寶), 인조 즉위 이후 바닷길로 명나라에 가는 사신단의 여정을 그림으로 기록한 '항해조천도(航海朝天圖)' 등이 소개된다.


2부에선 정묘호란 이후 조선과 후금, 명나라 간 관계 속에서 조선 조정의 대응을 다양한 측면에서 들여다본다. 목숨을 걸고 후금과 명나라에 사신을 간 사람들을 조명하고, 후금의 군사적 압력에 대한 조선 조정의 군사적, 외교적 고민을 소개한다.


후금에 사신으로 갔던 위정철(魏廷喆, 1583∼1657)이 여진인에게 받았다고 전해지는 철과 옥으로 만든 퉁소, 명나라 연호를 쓰지 못함을 애석해하는 척화론자 정온(鄭蘊, 1569∼1641)의 시를 새긴 돌베개, 남한산성의 성곽과 주요 건축물을 그린 '남한산성도(南漢山城圖)'가 전시된다.


3부는 청군의 기습적인 침공으로부터 인조가 항복 때까지의 상황을 다룬다. 17세기 초 명나라가 네덜란드의 대포를 모방해 만든 대포인 홍이포(紅夷砲), 병자호란 당시 남한산성에서 항전한 사실을 적은 기록인 '남한일기(南漢日記)', 청군의 군사적 역량을 보여주는 '호렵도(虎獵圖)' 등을 보여준다.


제4부는 전쟁이 남긴 유산을 생각하는 자리이다. 청음 김상헌(金尙憲, 1570∼1652)이 심양(瀋陽)의 감옥에서 쓴 시를 묶은 책인 '설교시첩(雪窖詩帖)', 임경업(林慶業, 1594∼1646)의 포부와 기개가 새겨진 칼 추련도(秋蓮刀), 효종이 직접 짓고 쓴 칠언시(七言詩), 병자호란 이후 양반 여성의 피란일기인 '숭정병자일기(崇禎丙子日記)' 등이 소개된다.


국립진주박물관은 "이번 전시가 병자호란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17세기 조선에서 일어난 동아시아 국제 전쟁이 갖는 현재적인 의미를 되새기는 소중한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한국의 전통사찰더보기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조선왕릉 이어보기더보기
 한국의 서원더보기
 전시더보기
 한국의 향교더보기
 궁궐이야기더보기
 문화재단소식더보기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