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지난해 '2030 영끌족' 아파트 매입 비중 최대치 기록...서울 40% 돌파
  • 박광준 기자
  • 등록 2022-02-06 18:46:38

기사수정


[박광준 기자] 지난해 2030 세대의 아파트 매입 비중이 조사 이래 최대 수치를 찍었다.


일명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족', '빚투(대출로 투자)족'으로 불린 2030 세대가 지난해 가파른 집값 상승에 놀라 무리하게 대출을 받거나 전세를 끼고 주택 구입에 나선 경우가 많았던 것이다.


6일 한국부동산원이 공개한 매입자 연령대별 아파트 매매거래 건수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2030 세대(20대 이하 포함)의 전국 아파트 매입 비중은 평균 31%로 집계됐다.


이 조사가 시작된 2019년의 28.3%, 2020년 29.2%에 이어 처음으로 30%를 돌파했다.


특히 수도권의 2030 세대 매입 비중이 높았다.


서울은 지난해 2030 세대의 아파트 매입 비중이 41.7%로 40%를 넘어섰다.


2019년의 31.8%, 2020년의 37.3%를 크게 웃도는 수치이다.


지역적으로는 직주근접형의 도심이나 전셋값이 높고, 집값은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의 매입 비중이 높았다.


젊은층의 인기가 높은 강서구는 2020년 46%에 육박했던 2030 세대 매입 비중이 지난해 51.5%까지 치솟으며 과반을 차지했고, 성동구 역시 2020년 49.0%에서 지난해는 51.1%를 기록하며 절반을 넘었다.


노원구는 2020년 38.6%였던 2030 세대 매입 비중이 지난해 49.3%로 10%포인트(p) 이상 오르면서 서울에서 상승폭이 가장 컸다.


이는 9억 원 이하 중소형 아파트가 많아 주택담보대출이 가능한 데다 전셋값 비중이 높아 갭투자가 용이하고, 일부 재건축 추진에 대한 기대감도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관악구도 비슷한 이유로 2020년 37.7%였던 2030 세대 매입 비중이 지난해 47.3%로 10%p 가까이 높아졌다.


이어 동대문·구로구(각 46.9%), 서대문구(46.8%), 중랑구(46.5%), 영등포구(46%) 등지도 2030 세대의 매입 비중이 45%를 넘었다.


이에 비해 고가의 아파트가 밀집한 강남3구는 2030 세대의 접근성이 떨어지면서 서울 평균을 밑돌았다.


강남구는 2030 세대 매입 비중이 2020년 28.5%에서 지난해는 26.7%로 서울에서 유일하게 감소했다.


대신 다른 강남권역인 서초구는 28.6%에서 32.5%로, 송파구는 33.9%에서 37.8%로 각각 늘었다.


지난해 광역 시도별 아파트값 상승률 1, 2위를 차지한 인천과 경기도 역시 2030 세대의 매입 비중이 부쩍 늘었다.


인천의 경우 2020년 27.2%였던 이 비중이 지난해 33.2%로 올랐고, 경기도는 30.4%에서 36.3%로 상승했다.


다만 서울의 경우 금융당국의 고강도 대출 규제로 대출 금리가 가파르게 오르기 시작한 지난해 8월 이후 2030 세대의 매입 비중이 다소 줄어든 모습이다.


지난해 7월 44.8%까지 치솟았던 서울 아파트의 2030 세대 매입 비중은 돈줄 옥죄기가 본격화된 작년 8월 41.2%로 줄었다가 10월 40.0%, 11월 39.9%, 12월 38.0% 등으로 하락 추세를 보였다.


지난해 12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역대 최저를 기록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전문가들은 최근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아파트값 하락세가 시작되면서 2030 세대의 피해가 커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한국부동산원에 의하면 지난주 서울 아파트값은 2주 연속 0.01% 하락했고, 경기도와 인천은 각각 0.03%, 0.04% 떨어지며 하락 전환됐다.


KB국민은행 박원갑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집값은 약세로 돌아섰는데 최근 대출 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면서 영끌족·빚투족의 부담도 커지고 있다"며 "당장 집값이 급락할 가능성은 적어 보이지만 무리한 투자는 삼가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경제일반더보기
 기업·산업더보기
 금융더보기
 부동산더보기
 뷰티더보기
 바이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