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서울시 구석 구석 97] 안국동 윤보선가(安國洞 尹潽善家)
  • 이승준 기자
  • 등록 2021-11-12 23:24:19
  • 수정 2024-04-10 09:55:56

기사수정

안국동윤보선가/사진-문화재청(사적)[이승준 기자] 윤보선 전대통령이 살았던 집으로, 고종 7년(1870)에 건립돼 윤보선 전대통령의 부친 치소(致昭)공이 1910년경 매입했다. 윤보선 전대통령은 7∼8세경에 이곳에 살기 시작했고 대통령으로 재직할 당시에도 청와대가 아닌 이곳에서 집무를 했다. 이 집은 1910년 이후에 박영효 선생이 일본에서 귀국해 잠시 머물기도 했다.


안국동 윤보선가/사진-이승준 기자 

서울의 상류민가로서 비교적 넓은 대지 안에 바깥사랑채, 안사랑채, 안채, 대문 및 행랑채, 창고 등을 갖추고 있다. 각 건물은 외형상으로는 한옥같이 보이나 세부적인 것은 중국 청나라 말기 수법을 보인다. 이는 윤보선 전대통령이 상해 임시정부 시절 중국에서 보고 느낀 중국적인 양식을 가미한 것으로 거주 당시의 특징을 보여 주는 것이다. 


안국동윤보선가/사진-문화재청(사적)

안국동윤보선가/사진-문화재청(사적)

실내장식 및 가구는 중국이나 영국 등지에서 경험한 것을 기본으로 실생활에 편리하게 하기 위해 서양식 가구임에도 전통기법을 가미해 새로운 의장으로 개선했다. 바깥사랑채의 현판인 남청헌은 순조가 쓴 것으로 생각되고 김옥균이 쓴 진충보국(盡忠報國)이라는 현판도 걸려 있는 등 각 건물에는 어필이나 유명인사가 쓴 현판이 걸려 있다. 


안국동윤보선가/사진-문화재청(사적)

안국동윤보선가/사진-문화재청(사적)

안국동윤보선가/사진-문화재청(사적)

사랑채 뒤뜰에는 연못이 있고 매화, 향나무를 비롯한 여러 나무가 조성돼 있다. 이는 전통 조경은 아니지만 19세기 말 새롭게 조성된 근대조경의 한 면모를 보여 주고 있다.


이 가옥은 또한 대한민국 최초의 민주정당인 한국민주당의 산실 역할을 한 장소이고 1950∼1970년대 야당의 사무실 겸 회의실로 사용됐고 민주운동의 본부이자 피난처로 사용되기도 한 한국정치사적 의의가 큰 곳이다.


안동교회 소허당/사진-이승준 기자 140여년 전의 양반가옥으로 목조 한와지붕은 전통 건축으로 하고 세부장식과 생활가구 등은 생활의 편리함을 추구한 이 집은 구한말 세도가의 위용과 건축양식 및 주거의 변천과정을 알 수 있어 건축 문화사적인 면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또한, 정치사적으로도 한국 최초의 민주정당의 산실 역할을 한 장소로서의 의의가 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한국의 전통사찰더보기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조선왕릉 이어보기더보기
 한국의 서원더보기
 전시더보기
 한국의 향교더보기
 궁궐이야기더보기
 문화재단소식더보기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