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외 소재‘해학반도도’국내서 복원 마치고 공개
  • 민병훈 기자
  • 등록 2020-12-19 02:56:22
  • 수정 2023-12-21 12:48:35

기사수정

해학반도도/보전처리 후

[민병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김동영)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사장 최응천)은 국내에 들여와 보존처리를 마친 미국 데이턴미술관(Dayton Art Institute) 소장 ‘해학반도도海鶴蟠桃圖’를 특별전 ‘해학반도도, 다시 날아오른 학’을 통해 이달 4일부터 내년 1월 10일까지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국외문화재 소장기관 보존 복원 및 활용 지원 사업’의 하나로 국내에 들어와 보존처리를 마친 우리 문화재가 다시 국외의 소장처로 돌아가기 전에 국민에게 선보이는 자리로 국내 최초로 미국 데이턴미술관 소장 해학반도도를 볼 수 있다.

 

‘해학반도도’는 십장생도(十長生圖)의 여러 소재 중에서 바다(해, 海), 학(학, 鶴)과 복숭아(반도, 蟠桃)를 강조해 그린 그림이다. 조선 말기에 궁중에서 크게 유행해 왕세자의 혼례를 비롯한 다양한 행사를 위해 여러 점 제작됐다. 


보존처리 전 

특히, ‘해학반도도’의 복숭아는 3,000년마다 한 번씩 열매를 맺는 장수를 상징하는 열매로, 장수를 기원하는 십장생도의 주요 소재인 학, 바다가 복숭아나무와 어우러진 신비한 선경(仙境)을 표현한 이 그림에는 영원한 삶에 대한 염원이 담겨 있다.

  

데이턴미술관의 ‘해학반도도’는 배경에 금박을 사용한 매우 희귀한 작품으로 현재 남아있는 ‘해학반도도’ 병풍 중 가장 큰 규모(그림 210.0×720.5㎝)다. 1920년대에 미국으로 가게 되면서 병풍은 여섯 개의 판 형태로 변형됐다. 문화재청과 한국조폐공사(사장 조용만)의 후원으로 약 16개월 간 보존처리 작업을 무사히 마치고 본래의 모습을 되찾게 됐다. 


국립고궁박물관은 제 모습을 되찾은 해학반도도를 집중해 감상할 수 있는 전시공간을 연출하는 한편, 영상자료를 통해 병풍의 세부와 보존처리 과정도 살펴볼 수 있도록 준비했다.


국립고궁박물관]다시날아오른학/포스터

또한, 이번 전시 작품과 관련된 온라인 국제 학술행사도 개최된다. 소장기관 관계자, 우리나라와 일본의 회화 전문가, 보존처리를 담당했던 전문가가 참여하면서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의 유튜브 계정으로 참여할 수 있다. 


또 ‘해학반도도, 다시 날아오른 학’ 전시를 찾는 관람객에게는 건강을 기원하는 의미로 해학반도도의 복숭아를 닮은 빵을, 수능 수험표를 가지고 오는 수험생에게는 해학반도도로 디자인한 파일(서류철) 증정 행사를 진행한다.(소진 시까지)

  

문화재청은 “앞으로도 국외에 있는 우리 문화재의 보존.복원 지원을 통해 우리 문화재가 더 안정적으로 보존되고 널리 활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면서, “다양한 전시를 통해 국외에 있는 우리 문화재를 널리 소개하고 감상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한국의 전통사찰더보기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조선왕릉 이어보기더보기
 한국의 서원더보기
 전시더보기
 한국의 향교더보기
 궁궐이야기더보기
 문화재단소식더보기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