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국적 뮤지컬 '베르테르', 클래식 20년 빛난다
  • 민병훈 기자
  • 등록 2020-10-10 00:16:28

기사수정

뮤지컬 '베르테르'는 1774년 출판된 괴테의 소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을 재창작한 작품이다. 사진은 베르테르를 연기하는 카이(오른쪽)와 롯데를 연기하는 이지혜의 모습. /CJENM 제공[민병훈 기자] 지금까지 많은 뮤지컬이 시대에 따라, 시즌에 따라 여러 변화를 요구받았으나 제자리에 머물러야 진가가 발휘되는 작품도 있다. 올해 20주년을 맞은 클래식의 대명사 뮤지컬 '베르테르'가 바로 그런 작품이다. 


'베르테르'는 1774년 출판된 괴테의 서간체 소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을 작가 고선웅의 감각적인 극본을 토대로 재창작한 뮤지컬이다. 2000년 초연부터 정형화된 서양 뮤지컬의 어법을 내려놓고 스토리와 연출을 한국 감성에 맞게 구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후 20년 간 풍성한 실내악 중심의 풍성한 사운드와 드라마틱하지만 절제된 감정선이 어우러져 국내 대표적인 클래식 뮤지컬로 자리매김했다.


줄거리는 소설과 같다. 롯데를 보고 첫눈에 반한 베르테르와 시(詩)를 매개로 베르테르에게 유대감을 느낀 롯데. 베르테르는 사랑을 확신하지만 롯데에게는 약혼자가 있었다. 뮤지컬은 원작의 롯데와 베르테르의 관계를 부각하면서 특히 베르테르가 겪는 무수한 고민의 순간에 집중했다. 사랑에 빠져 황홀함에 젖어 있다가 점차 고뇌에 휩싸여 흑화하는 베르테르의 섬세한 감정선을 톺아보는 묘미가 있다.


카이는 2008년 팝페라 가수로 데뷔해 2011년 '스토리 오브 마이 라이프'로 뮤지컬에 입문했다. 이후 ‘잭더리퍼’ ‘엑스칼리버’ ‘팬텀’ ‘벤허’ ‘프랑케슈타인’ 등 대형 작품의 타이틀롤을 꿰차면서 대표적인 다작 배우 반열에 오른 그는 "문학을 좋아하고 낭만을 사랑하는 사람이라서 저와 비슷한 점이 많다고 생각했어요. 특히 내면 갈등이 마음에 들어요. 그 절실함을 꼭 한번 연기해보고 싶었어요. 단순히 사랑과 고통이라는 단편적인 감정이 아니라 입체적으로 생각할 부분이 많아요"라고 했다. 


카이가 '베르테르'에 캐스팅됐다는 소식이 전해졌을 때 "지금까지 이 작품을 한 번도 안 했었어?"라는 반응을 나타냈으나, 하지만 카이는 "예전에 이 작품을 만났다면 어땠을까 생각해봤어요. 순수한 베르테르가 될 수는 있었겠지만 지금처럼 깊이는 없었을 것 같아요. 감정을 절제해 표현할 수 있는 유연함이 생긴 지금 베르테르를 만나 다행이에요"이라고 전했다. 


원작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은 1774년 출간 당시부터 파장이었다. 베르테르가 입었던 노란 연미복이 유행처럼 번졌고, 급기야 베르테르처럼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건이 연달아 터지기도 했다. 원작의 파급력 때문에 시각 예술인 뮤지컬과 활자 예술인 소설을 비교하는 독자가 유독 많다. 


괴테의 소설을 시각예술로 구현해낸 무대 질감은 서정적이면서 차갑다. 소박한데, 이상하게도 거칠다. 베르테르의 정열과 그가 겪는 질풍노도의 아픔을 극단적으로 담아내기 위한 의도한 연출이다. 특히 로맨틱 판타지라는 콘셉트를 중심으로 극의 배경인 도시 발하임을 거대 화훼산업단지로 설정하면서 노란 해바라기를 무대 전면에 내세운 연출은 장관이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한국의 전통사찰더보기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조선왕릉 이어보기더보기
 한국의 서원더보기
 전시더보기
 한국의 향교더보기
 궁궐이야기더보기
 문화재단소식더보기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