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서울시 구석 구석 260] 한성부 북부 안국방 자리에 있던 조선시대 별궁 '안동별궁'
  • 박광준 기자
  • 등록 2024-02-18 08:17:16
  • 수정 2024-04-10 22:56:33

기사수정


[박광준 기자] 안동별궁(安洞別宮)은 한성부 북부 안국방, 지금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3길 4 풍문여자고등학교(현 서울공예문화박물관) 자리에 있던 조선 시대의 별궁이다. 조선 고종 15년(1878) 11월에 건물이 건립되기 이전에는 왕족들이 거주하던 곳이었다. 1965년에 해체됐다.


안동별궁은 고종 대에 왕실 결혼식을 두 차례나 치르는 등 왕실가의 공식 행사를 하던 대표적인 장소였다. 안동별궁이 지어지기 전 이 터에는 연경궁이 있었다. 연경궁은 조선 전기 대군의 소유지였다가 공주의 집터로, 그 후손이 벌열가문을 형성해 세거하는 집터가 되었다가 다시 왕실(숙종의 아들 연령군) 소유가 됐다. 


안동별궁

연경궁은 고종 즉위 후 1879년 11월 본격적으로 왕실 직속 별궁으로 공사가 시작돼 1881년 완공됐고 이때부터 안동별궁으로 불리게 된다. 이곳에서 1882년 2월, 왕세자 이척(순종)과 세자빈 민씨(순명효황후)가 가례를 올렸고, 1904년 순명효황후가 사망한 뒤 두 번째 황후인 황태자비 윤씨(순정효황후)의 가례도감이 이곳에 설치됐다.



1910년 이후 안동별궁은 이왕직(李王職) 소유가 되어 환관, 궁녀 등 나인들의 거처로 사용했다. 1936년에는 안동별궁의 부지 일부가 최창학과 민대식에게 넘어갔다. 민대식은 이 자리에 지금의 풍문여자.중고등학교의 전신인 휘문소학교를 세웠다. 


그 후 학교에 남아 있던 안동별궁의 건물 가운데 2동은 1965년 8월 31일 운동장 확보와 교사 신축을 위해 해체되어 정화당은 서울 강북구 우이동(현 메리츠화재연수원), 경연당과 현광루는 경기 고양의 한 골프장으로 각각 이전했다./사진-박광준 기자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한국의 전통사찰더보기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조선왕릉 이어보기더보기
 한국의 서원더보기
 전시더보기
 한국의 향교더보기
 궁궐이야기더보기
 문화재단소식더보기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