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건강칼럼] 명절 내내 전 부치다 터진 손목? 참지 말고 치료 받아야
- 계묘년 설날 명절을 지냈다. 온가족이 모인 명절인 만큼 나누어 먹을 음식을 만들고 손님맞이 단장을 해야 하는 이들에게는 고된 노동의 시간이기도 했다. 음...
- 2023-01-25
-
- [건강칼럼] 찬바람에 고통받는 어깨, 혹시 내가 오십견?
- 기온이 급격히 내려가고 찬바람이 부는 계절이다. 추위 탓에 몸이 움츠러들고 굳어지게 되면 경직으로 인한 통증이 발생하기도 하고 부상을 입기도 쉬워진다....
- 2023-01-22
-
- [건강칼럼] 해외여행의 계절, 관절염 환자가 비행기를 조심해야 하는 이유
- 종종 일기예보를 보지 않고도 날씨를 맞히는 노인들이 있다. 비가 올 때 무릎이나 허리를 손으로 두들기면서 날씨를 알아맞히는데 그들에게 특별한 예지력이 ...
- 2023-01-03
-
- [건강칼럼] 허리가 아프다고 다 디스크는 아니다? 증상으로 알아보는 허리 질환 차이
- 허리 통증은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는다. 노년층 뿐만 아니라 아직 한창 일을 하는 청장년들 중에서도 허리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은 적지 않다. 허리 힘을 써야...
- 2023-01-01
-
- [건강칼럼] 스키 타다 ‘뚝’, 무릎십자인대 파열, 연령과 파열 정도 등에 따라 재건술 결정해야
- 스키 시즌이 다가왔다. 겨울에 스키장을 찾는 방문객 약 400만 명. 이 중 1만 명이 부상을 입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무릎 부상이 흔하다. 스키가 무릎 회전이 ...
- 2022-12-21
-
- [건강칼럼] 발목에 덤으로 생긴 뼈, 부주상골증후군이 발 건강을 위협한다
- 우리 눈과 머리에서 가장 멀리 위치한 발, 그래서 사람들은 발의 중요성을 쉽게 간과하곤 한다. 하지만 발에는 우리 몸 전체의 약 25%에 해당하는 52개의 뼈가 ...
- 2022-12-13
-
- [건강칼럼] 월드컵과 함께하는 치맥? 통풍성 관절염 유발하는 나쁜 조합
- 2022년 카타르 월드컵은 엔데믹(Endemic : 유행했던 감염병이 치명률이 낮아진 채 풍토병화 되는 현상)이후 처음 맞이하는 전세계적인 스포츠 축제다. 한국의 선...
- 2022-12-05
-
- [건강칼럼] 걸핏하면 삐는 발목, 방치하면 발목관절염까지 유발할 수 있다.
- 나비효과라는 말이 있다. 나비의 작은 날갯짓 하나가 변수를 만들고 그 변수가 점점 커지며 다른 지역에 돌풍을 일으킬 수도 있다. 우리 몸도 그러하다. 젊은 ...
- 2022-11-30
-
- [건강칼럼] 정형외과 주사치료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 뼈나 근육에 문제가 생겼을 때 사람들이 으레 떠올리는 보존적 치료법은 재활치료, 충격파 치료 같은 물리치료들이다. 하지만 족저근막염 같은 염증질환이 발...
- 2022-11-15
-
- [건강칼럼] “붕어 눈 같은 ‘안구돌출’ 네비게이션으로 치료한다”
- 갑상선 질환이 있는 사람 중에 눈이 붕어처럼 커지고 앞으로 튀어나오거나 눈이 붓고 염증이 생기는 등의 불편감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를 ‘...
- 2022-11-13
-
- [건강칼럼] 개와 늑대의 시간, 더욱 유의해야 할 발목 건강
- 개와 늑대의 시간이라는 말이 있다. 밤과 낮의 경계, 밤의 짙은 푸른색과 낮의 짙은 붉은 색이 만나 황혼을 이루는 시간대에는 저 너머에서 나를 향해 달려오...
- 2022-10-29
-
- [건강칼럼] 손상된 발목의 연골, 해법으로 등장한 줄기세포
- 우리 몸은 손상되었다가도 끊임없이 회복되곤 한다. 일종의 '재생 시스템'이 몸 속에서 작용하고 것인데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줄기세포'...
- 2022-10-11
-
- [건강칼럼] 가을 등산 전에, 발목불안정증 꼭 체크하세요
- 가을은 등산의 계절이다. 더위도 한풀 꺾이고 나무도 형형색색으로 변신하는 이 시기는, 산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절대 놓칠 수 없다.하지만 안전사고도 유...
- 2022-10-02
-
- [건강칼럼] 무지외반증, 최소침습 수술로 환자의 부담을 경감
- 엄지발가락이 휘는 무지외반증은 이미 보편적인 질환이다. 한 해에 6만 명 정도가 무지외반증으로 병원을 찾는다. 무지외반증은 여성에게서 훨씬 많은 빈도로...
- 2022-09-26
-
- [건강칼럼] 무지외반증, 최소침습 수술로 환자의 부담을 경감
- 엄지발가락이 휘는 무지외반증은 이미 보편적인 질환이다. 한 해에 6만 명 정도가 무지외반증으로 병원을 찾는다. 무지외반증은 여성에게서 훨씬 많은 빈도로...
- 2022-09-24
-
- [건강칼럼] “수면장애가 치매의 원인이 된다”
-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치매 유병률도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치매의 대표적인 질환 중 하나인 '알츠하이머병'의 경우 아밀로이드 이상 단백질들이 뇌에 ...
- 2022-09-15
-
- [건강칼럼] 추석 명절의 후유증, 손목터널증후군과 테니스엘보
- 온 가족이 한 자리에 모여 차례를 지내고 음식을 나누며 뜻 깊은 시간을 보냈을 추석이지만 행복한 순간도 잠시, 명절이 끝난 뒤 많은 사람들에겐 명절 후유증...
- 2022-09-14
-
- [건강칼럼] 아침마다 극심한 통증, 어깨에 돌 쌓인 게 원인?
- 중년의 어깨 통증은 비교적 흔한 증상이지만 원인이 항상 같은 것은 아니다. 50대를 넘는 나이의 사람들은 어깨가 아프면 흔히 오십견이 찾아왔다고 생각한다....
- 2022-09-12
-
- [건강칼럼] 지긋지긋한 발바닥 족저근막염, 간단한 시술로도 해결 할 수 있다
- 족저근막은 우리의 걸음걸이와 관련이 깊다. 발꿈치뼈(종골)와 발가락뼈를 이어주는 부채꼴 모양의 막을 족저근막이라고 부르는데 이 막이 우리 발바닥에 아...
- 2022-08-23
-
- [건강칼럼] 이유 없이 발생한 무릎 뒤 통증, 알고보니 베이커낭종
- 우리가 일반적으로 아는 무릎 질환은 무릎 앞쪽과 관련돼 있다. 대표적인 슬관절 질환인 관절염은 무릎 앞에 위치한 연골이 닳거나 취약해지면서 그 기능이 ...
- 2022-08-16
-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
-
- [박정기의 공연산책 217] 故 신정옥 교수를 추모하며
- 1989년 셰익스피어 희곡 작품 37권을 번역해서 펴낸 신정옥(申定玉) 명지대 명예교수가 2022년 8월 19일 오전 2시6분께 노환으로 세상을 떠났다. 향년 90세.신정옥(申定玉 1932~2022)교수는 함경남도 정평 출생으로 명지대 영문학과 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명지대 명예교수였다. 경북대를 거쳐 이화여대 대학원을 졸업한 뒤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
- [박정기의 공연산책 216] 프로젝트 아일랜드, 서지혜 연출 '장녀들'
- 아트원 씨어터 3관에서 프로젝트 아일랜드의 시노다 세츠코 작 서지혜 연출의 장녀들을 관람했다.시노다 세츠코(Setsuko Shinoda,しのだ せつこ,篠田 節子)는 1955년 도쿄 도 하치오지(八王子) 시에서 태어났다. SF나 모험활극에 심취해 있던 어린 시절, 코난 도일의 『잃어버린 세계』에 큰 감명을 받고 작가의 꿈을 꾸었다. 도쿄 학예대학 교육학.
-
- [박정기의 공연산책 215] 주 아크 컴퍼니-바스트 엔터테인먼트 공동제작, 이순재 연출 '갈매기'
- 유니버설 아트센터에서 주 아크 컴퍼니와 바스트 엔터테인먼트 공동제작 안톤체홉 작 이순재 연출의 갈매기를 관람했다.안톤 체홉(러시아어 Анто́н Па́влович Че́хов, 영어 Anton Pavlovich Chekhov,문화1860~ 1904)은 의사, 소설가, 극작가다.체호프는 모스크바 예술극단과의 유대가 강했고, 직접 무대에 서기도 했다. 1901년에 결혼한 “올...
-
- [박정기의 공연산책 214] 성북문화재단과 연극집단 반, 김지은 연출 '예의와 관습'
- 길음동 꿈빛극장에서 성북문화재단과 연극집단 반의 베르톨트 브레히트 작 김지은 연출의 예의와 관습을 관람했다.베르톨트 브레히트(Bertolt Brecht·1898∼1956)는 독일 아우구스부르크(Augsburg)에서 종이 공장에서 일하던 아버지 베르톨트 프리드리히 브레히트(Berthold Friedrich Brecht)와 브레칭(Brezing)에서 태어난 어머니 조피(Sofie)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