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작구 둘러보기 39] ‘공작포란형’, 공작이 알을 품고 있는 듯 상서로운 기맥이 흐르는 곳 ‘국립묘지(1)’
- [박광준 기자] 서울 동작구 동작동에 위치한 국립묘지는 국가와 민족을 위해 순국한 호국영령들이 잠들어 있는 민족의 성역으로, 관악산 기슭에 자리잡은 동...
- 2023-07-23
-
- [동작구 둘러보기 38] 한국 영화 실미도 2003 와 북파 특수 부대들...영화 '실미도' 사건 현장
- [박광준 기자] 강우석 감독의 영화 '실미도 2003'는 한국 영화 역사에서 최초로 1,000만 관객을 돌파하면서 한국 영화 시장 확장에 큰 기여를 했다.이 영화...
- 2023-07-22
-
- [동작구 둘러보기 37] 영화 '기생충' 촬영지 '스카이피자'
- [박광준 기자] 기택(송강호) 가족이 피자 박스 접는 아르바이트를 하고, 박 사장네 가정부인 문광( #이정은)을 몰아내기 위해 모의하던 피자 가게는 서울 동작...
- 2023-07-22
-
- [동작구 둘러보기 36] 모두에게 특별한 기억이 되는 공간 '카멜커피 11호점'
- [박광준 기자] 카멜커피 11호점은 서울 동작구 상도역 1번 출구에서 상도 토끼굴을 지나면 정면에 롯데캐슬이 보인다. 반대방향으로 고개를 돌리면 비탈길이 ...
- 2023-07-22
-
- [동작구 둘러보기 35] 철도시발지 ‘노량진역’
- [박광준 기자] 노량진역의 정식명칭은 서울지방철도청 노량진역이다. 현 역사는 1971년 5월 15일 설립됐다. 건물면적1,143m3에 2층 콘크리트건물, 4개홈, 7개 선로, ...
- 2023-04-23
-
- [동작구 둘러보기 34] 한강변 아름다운 마을 ‘흑석동’
- 옛 흑석진[박광준 기자] 흑석동의 동명은 흑석 제1주민센터 남쪽 일대에서 나오는 돌의 빛이 검은색을 띠므로 ‘검은돌’ 마을이라 한 데서 유래했다.흑...
- 2023-01-23
-
- [동작구 둘러보기 33] 종2품 이상의 관원이 있는 무덤이 있는 근처 큰길에 세우던 석비 '신도비'
- [박광준 기자] 신도비는 옛날 종2품 이상의 관원이 있는 무덤이 있는 근처 큰길에 세우던 석비로, 이 석비는 그 비문의 내용이 알려주는 역사적 사료로서의 금...
- 2023-01-23
-
- [동작구 둘러보기 32] ‘동재기나루터’라 부른 데서 명명된 ‘동작동’
- 동작동 전경 [박광준 기자] 동작구 동명에 대한 유래는 조선시대에 이곳이 용산에서 수원으로 통하는 도진의 하나였던 동작진 근처 동작진 근처 이남지역을 ...
- 2023-01-15
-
- [동작구 둘러보기 31] 옛날 큰 사당이 있었던 전해지는 마을 ‘사당동’
- 국내 유일 루프탑 복합문화공간 '아트나인&잇나인'에서 바라본 사당동 전경 [박광준 기자] 사당동 동명의 유래는 옛날 큰 사당이 있었던 마을이라 해 붙...
- 2023-01-15
-
- [동작구 둘러보기 30] 사육신묘 입산 동산에 있었던 ‘사충서원’
- [박광준 기자] 사충서원은 경기도 하남시에 있는 조선후기 김창집 등 4인의 선현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으로, 1725년(영조 1) 노론 4대신인 김창집(金昌集)...
- 2023-01-13
-
- [동작구 둘러보기 29] 박태보를 배향하던 ‘노강서원’
- 노강서원/사진출처-문화재청[박광준 기자] 동작구 본동 286-1(사육신묘 서쪽 기슭)의 가칠목 마을에 있었던 서원으로 숙종 15년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죽은 정...
- 2023-01-13
-
- [동작구 둘러보기 28] 태고종 사찰 '극락정사'
- [박광준 기자] 서울 동작구 본동 473번지에 있는 태고종의 사찰이다. 3.1운동이 일어났던 1919년에 양나은 대사가 신작로변(일명 절고개)에 관악산 연주암의 포교...
- 2023-01-01
-
- [동작구 둘러보기 27] 영험설화가 전해지는 '미륵암'
- [박광준 기자] 동작구 상도 1동 103-2에 있는 한국불교태고종 소속의 사찰로, 본래 사찰의 사적이 남아 그 창건연대는 알 수 없고, 미륵불의 조성연대 또한 확실...
- 2023-01-01
-
- [동작구 둘러보기 26] 사자의 위엄으로 백호를 막은 ‘사자암’
- [박광준 기자] 동작구 상도 3동 280번지 삼성산 국사봉 밑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다. 조선 태조 5년(1396) 무학대사가 창건했다고 한다. 삼성산이...
- 2023-01-01
-
- [동작구 둘러보기 25] 선조의 조모인 창빈안씨신도비 부 묘소
- [박광준 기자] 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무덤을 능, 왕의 생모나 왕세자.세자빈.왕세손의 무덤은 원, 대군이나 군.공주.옹주 및 빈.귀인.숙의 등 후궁의 무덤을 묘...
- 2022-12-29
-
- [동작구 둘러보기 24] 양녕대군의 사당과 묘소 ‘지덕사’
- [박광준 기자] 동작구 상도동 65-42의 국사봉 북쪽에 있는 조선 태종의 장자이자 세종의 맏형인 양녕대군(1394-1462)의 사당과 묘소로,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1...
- 2022-12-28
-
- [동작구 둘러보기 23] 근현대사를 살아오면서 함께 만들어온 공통의 기억.감성으로 미래세대에 전할 유산들 '미래유산'
- [박광준 기자] 미래유산은 문화재로 등록되지 않은 서울의 근현대 문화유산 중에서 미래세대에 전달할 만한 가치가 있는 유.무형의 모든 것으로, 서울 사람들...
- 2022-12-26
-
- [동작구 둘러보기 22] 상여꾼 집단 ‘상투골’에서 유래된 ‘상도동’
- 지금은 쉽게 볼 수 없는 상여꾼 모습/사진출처-한국학중앙연구원 [박광준 기자] 상도동의 동명은 전일에 이곳에 상여꾼이 집단으로 거주해 ‘상투골’...
- 2022-12-25
-
- [동작구 둘러보기 21] 대방동 접경의 새로 생긴 마을 ‘신대방동’
- 보라매공원 둘레길 코스 5분만에 둘러보기/영상출처-동작구[박광준 기자] 신대방동 동명의 유래는 대방동 접경의 새로 생긴 마을이라 붙여진 이름이다. 보라...
- 2022-12-24
-
- [동작구 둘러보기 20] 선사시대 이후 우수한 민족문화 살펴볼 수 있는 ‘고고미술실(2)’
- # 통일신라문화통일신라문화는 신라의 삼국통일 이전부터 다져지기 시작했다. 묘제에 있어서는 돌방무덤[石室墳]이 널리 확산되고 왕실무덤의 경우 호석(護...
- 2022-12-23
-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
-
- [박정기의 공연산책 280] 고 윤무중을 추모하며
- 윤무중(1941~2023)은 소극장 원각사가 불이 나기 이전 1960년에 극단 Up Sun Stage의 유진 오닐 작, 지평선너머에 출연한 배우였다, 당시 문오장(1940~1999)과 국립극단의 안네프랑크의 일기에 안네프랑크로 출연한 전향이, 주요한 선생의 차남 주동직, 후에 마당놀이 작가 겸 정동 세실극장장이던 김청일( 1941~2021)과 함께 출연했다. 군복무 중 카츄사 ..
-
- [박정기의 공연산책 279] 제8회 여성연극제 작가전 선정작 극단 마고, 박연주 연출 '노파의 오찬'
- 민송아트홀 2관에서 제8회 여성연극제 작가전 선정작 극단 마고의 강추자 작 박연주 연출의 노파의 오찬을 관람했다.강추자 작가는 1943년 서울에서 태어나 숙명여고와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였다. 1977년 신춘문예에 희곡 「고양이 쥬리는 어디로 갔을까요?」, 1980년 국립극장 장막극 공모에 「공녀와 아실」이 당선되었...
-
- [박정기의 공연산책 278] 국립극단, 김 정 연출 '이 불안한 집'
- 명동예술극장에서 국립극단의 지니 해리스 작 성수정 역 김 정 연출의 이 불안한 집(This Restless House)을 관람했다.지니 해리스(Zinnie Harris)는 영국 옥스퍼드와 힐 대학출신의 극작가다. 로열 코트극장, 영국 국립극장, 스코틀랜드 국립극장,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에서 극작과 연출을 담당했다. 동시대적 작품, 고전을 현대적으로 해석 각색한 ...
-
- [박정기의 공연산책 277] 문화예술렛츠 극단 불, 유준기 연출 '참기름 아저씨'
- 대학로 드림시어터 소극장에서 문화예술렛츠 극단 불 보드웰의 김기태 극본 유준기 연출의 참기름 아저씨를 관극했다.김기태는 극작가이자 배우다. 한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언론전공에 철학과를 부전공으로 졸업한 그는 예술과 직접적 연관은 없었지만 그 시절 전공 수업들이 지금의 자신을 만들었다고 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