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작구 둘러보기 34] 한강변 아름다운 마을 ‘흑석동’
- 옛 흑석진[박광준 기자] 흑석동의 동명은 흑석 제1주민센터 남쪽 일대에서 나오는 돌의 빛이 검은색을 띠므로 ‘검은돌’ 마을이라 한 데서 유래했다.흑...
- 2023-01-23
-
- [동작구 둘러보기 33] 종2품 이상의 관원이 있는 무덤이 있는 근처 큰길에 세우던 석비 '신도비'
- [박광준 기자] 신도비는 옛날 종2품 이상의 관원이 있는 무덤이 있는 근처 큰길에 세우던 석비로, 이 석비는 그 비문의 내용이 알려주는 역사적 사료로서의 금...
- 2023-01-23
-
- [동작구 둘러보기 32] ‘동재기나루터’라 부른 데서 명명된 ‘동작동’
- 동작동 전경 [박광준 기자] 동작구 동명에 대한 유래는 조선시대에 이곳이 용산에서 수원으로 통하는 도진의 하나였던 동작진 근처 동작진 근처 이남지역을 ...
- 2023-01-15
-
- [동작구 둘러보기 31] 옛날 큰 사당이 있었던 전해지는 마을 ‘사당동’
- 국내 유일 루프탑 복합문화공간 '아트나인&잇나인'에서 바라본 사당동 전경 [박광준 기자] 사당동 동명의 유래는 옛날 큰 사당이 있었던 마을이라 해 붙...
- 2023-01-15
-
- [동작구 둘러보기 30] 사육신묘 입산 동산에 있었던 ‘사충서원’
- [박광준 기자] 사충서원은 경기도 하남시에 있는 조선후기 김창집 등 4인의 선현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으로, 1725년(영조 1) 노론 4대신인 김창집(金昌集)...
- 2023-01-13
-
- [동작구 둘러보기 29] 박태보를 배향하던 ‘노강서원’
- 노강서원/사진출처-문화재청[박광준 기자] 동작구 본동 286-1(사육신묘 서쪽 기슭)의 가칠목 마을에 있었던 서원으로 숙종 15년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죽은 정...
- 2023-01-13
-
- [동작구 둘러보기 28] 태고종 사찰 '극락정사'
- [박광준 기자] 서울 동작구 본동 473번지에 있는 태고종의 사찰이다. 3.1운동이 일어났던 1919년에 양나은 대사가 신작로변(일명 절고개)에 관악산 연주암의 포교...
- 2023-01-01
-
- [동작구 둘러보기 27] 영험설화가 전해지는 '미륵암'
- [박광준 기자] 동작구 상도 1동 103-2에 있는 한국불교태고종 소속의 사찰로, 본래 사찰의 사적이 남아 그 창건연대는 알 수 없고, 미륵불의 조성연대 또한 확실...
- 2023-01-01
-
- [동작구 둘러보기 26] 사자의 위엄으로 백호를 막은 ‘사자암’
- [박광준 기자] 동작구 상도 3동 280번지 삼성산 국사봉 밑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다. 조선 태조 5년(1396) 무학대사가 창건했다고 한다. 삼성산이...
- 2023-01-01
-
- [동작구 둘러보기 25] 선조의 조모인 창빈안씨신도비 부 묘소
- [박광준 기자] 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무덤을 능, 왕의 생모나 왕세자.세자빈.왕세손의 무덤은 원, 대군이나 군.공주.옹주 및 빈.귀인.숙의 등 후궁의 무덤을 묘...
- 2022-12-29
-
- [동작구 둘러보기 24] 양녕대군의 사당과 묘소 ‘지덕사’
- [박광준 기자] 동작구 상도동 65-42의 국사봉 북쪽에 있는 조선 태종의 장자이자 세종의 맏형인 양녕대군(1394-1462)의 사당과 묘소로,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1...
- 2022-12-28
-
- [동작구 둘러보기 23] 근현대사를 살아오면서 함께 만들어온 공통의 기억.감성으로 미래세대에 전할 유산들 '미래유산'
- [박광준 기자] 미래유산은 문화재로 등록되지 않은 서울의 근현대 문화유산 중에서 미래세대에 전달할 만한 가치가 있는 유.무형의 모든 것으로, 서울 사람들...
- 2022-12-26
-
- [동작구 둘러보기 22] 상여꾼 집단 ‘상투골’에서 유래된 ‘상도동’
- 지금은 쉽게 볼 수 없는 상여꾼 모습/사진출처-한국학중앙연구원 [박광준 기자] 상도동의 동명은 전일에 이곳에 상여꾼이 집단으로 거주해 ‘상투골’...
- 2022-12-25
-
- [동작구 둘러보기 21] 대방동 접경의 새로 생긴 마을 ‘신대방동’
- 보라매공원 둘레길 코스 5분만에 둘러보기/영상출처-동작구[박광준 기자] 신대방동 동명의 유래는 대방동 접경의 새로 생긴 마을이라 붙여진 이름이다. 보라...
- 2022-12-24
-
- [동작구 둘러보기 20] 선사시대 이후 우수한 민족문화 살펴볼 수 있는 ‘고고미술실(2)’
- # 통일신라문화통일신라문화는 신라의 삼국통일 이전부터 다져지기 시작했다. 묘제에 있어서는 돌방무덤[石室墳]이 널리 확산되고 왕실무덤의 경우 호석(護...
- 2022-12-23
-
- [동작구 둘러보기 19] 선사시대 이후 우수한 민족문화 살펴볼 수 있는 ‘고고미술실(1)’
- [이승준 기자] 우리나라의 선사시대 이후 우수한 민족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고고․미술실은 암사동에서 출토된 대형빗살무늬토기, 섬세한 기하학문양이 뛰...
- 2022-12-23
-
- [동작구 둘러보기 18] 급격한 사회변동-민족 정체성 새로이 인식했던 시기
- [이승준 기자] 한국근대사와 관련한 희귀자료들을 접할 수 있는 근대화와 민족운동사실에서는 급격한 사회변동을 겪으면서 민족의 정체성을 새로이 인식했던...
- 2022-12-23
-
- [동작구 둘러보기 17] 동작구의 나루들...
- 동작전/정선[박광준 기자] #노들나루한강 남안에 위치했던 나루터로 현재의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동에 속한다. 옛부터 수양버들이 울창해 ‘노들나루&...
- 2022-12-22
-
- [동작구 둘러보기 16] 높은절과 번댕이 두 마을로 이뤄진 ‘대방동’
- 옛 공군사관학교 시절 모습/사진 하단에 연못이 보인다./자료사진 [박광준 기자] 대방동 동명의 유래는, 이곳은 지금으로부터 약 350년 전인 조선시대에는 높...
- 2022-12-22
-
- [동작구 둘러보기 15] 노량진동, ‘노들나루’로 불리운 도선장으로 인해 형성되기 시작한 '도진촌락'
- [박광준 기자] 노량진동은 예부터 수양버들이 울창해 ‘노들나루’라고도 불리운 도선장으로 인해 형성되기 시작한 도진촌락으로, 노량진동 하면 노량...
- 2022-12-16
-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
-
- [박정기의 공연산책 219] 극단 춘추, 故 문고헌 연출 2주기 추모공연 니콜라이 바실리예비치 고골 작 송훈상 연출 …
- 한성아트홀 1관에서 극단 춘추 故 문고헌 연출 2주기 추모공연 니콜라이 바실리예비치 고골 작 송훈상 연출의 고골의 검찰관을 관극했다.니콜라이 바실리예비치 고골(Nikolai Vasilievitch Gogol)은 1809년 우크라이나의 소로친츠이에서 소지주의 아들로 태어났다. 1830년, 단편 를 발표한 데 이어 다음해에 우크라이나의 생활상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
-
- [박정기의 공연산책 218] 극단 실험극장, 이한승 연출 '에쿠우스'
- 충무아트홀 중극장 블랙에서 극단 실험극장의 피터 쉐퍼 작, 신정옥 역, 이한승 연출의 를 관극했다.피터 쉐퍼(Peter Shaffer, 1926~2016)는 잉글랜드의 리버풀에서 출생했다. 1935년 가족과 함께 런던으로 이사를 했으며, 쌍둥이 형제인 안토니 쉐퍼와 함께 영국 세인트폴학교에 입학하게 된다. 1944년 두 형제는 학교를 떠나 군징집 대신 모집한 탄광...
-
- [박정기의 공연산책 217] 故 신정옥 교수를 추모하며
- 1989년 셰익스피어 희곡 작품 37권을 번역해서 펴낸 신정옥(申定玉) 명지대 명예교수가 2022년 8월 19일 오전 2시6분께 노환으로 세상을 떠났다. 향년 90세.신정옥(申定玉 1932~2022)교수는 함경남도 정평 출생으로 명지대 영문학과 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명지대 명예교수였다. 경북대를 거쳐 이화여대 대학원을 졸업한 뒤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
- [박정기의 공연산책 216] 프로젝트 아일랜드, 서지혜 연출 '장녀들'
- 아트원 씨어터 3관에서 프로젝트 아일랜드의 시노다 세츠코 작 서지혜 연출의 장녀들을 관람했다.시노다 세츠코(Setsuko Shinoda,しのだ せつこ,篠田 節子)는 1955년 도쿄 도 하치오지(八王子) 시에서 태어났다. SF나 모험활극에 심취해 있던 어린 시절, 코난 도일의 『잃어버린 세계』에 큰 감명을 받고 작가의 꿈을 꾸었다. 도쿄 학예대학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