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법무사관후보 포기하자 현역병 통지...대법 “병역 판정 재검사해야”
  • 박광준 기자
  • 등록 2023-08-30 10:13:24

기사수정


[박광준 기자] 법학전문대학원 재학생이 법무사관후보생으로 뽑히는 것은 병역법상 ‘징집’으로 볼 수 없으므로 후보생 중도 포기자는 마지막 현역 처분으로부터 4년이 지나면 재병역판정검사 대상이 될 수 있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다.


대법원 3부(주심 안철상 대법관)는 A씨가 경인지방병무청을 상대로 낸 현역병입영처분 취소 소송에서 지난 18일 원심의 원고패소 판결을 깨고 사건을 수원고법에 돌려보냈다.


A씨는 2009년 10월 병역판정검사를 받고 현역병 입영 대상인 3급 판정을 받았지만 이후 법학전문대학원에 입학해 2013년 4월 법무사관후보생으로 선발됐다.


재학 중 법무사관후보생으로 선발되면 법무사관후보생 병적에 편입되지만 바로 입영하지는 않는다. 법학전문대학원을 졸업하고 변호사 자격을 취득한 뒤 법무장교 등으로 선발돼 군에 입영한다.


A씨는 2019년 6월 법무사관후보생을 포기해 병적에서 제적됐다. 병무청은 A씨에게 현역병으로 입영하라고 통지했다.


그러자 A씨는 현역병 입영 대상자에서 제외해달라며 병역법 14조의2를 근거로 재병역판정검사를 신청했다.


병역법 14조의2에 따라 현역병 입영 병역 처분을 받은 뒤 4년 넘게 징집되지 않으면 재병역판정검사 대상이 된다.


병무청은 A씨의 신청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A씨가 법무사관후보생으로 편입된 것을 병역법상 ‘징집’으로 보아 재병역판정검사 대상이 아니라고 봤다.


A씨가 불복해 제기한 소송에서 1.2심은 병무청의 손을 들었다.


그러나 대법원은 “법무사관후보생 병적에 편입된 것을 병역법상 징집으로 볼 수 없다”면서 원심 판단이 잘못됐다고 판결했다.


대법원은 “병역법상 징집은 국가가 병역 의무자에게 현역에 복무할 의무를 부과하는 것”이라면서, “법무사관후보생 병적 편입 자체로는 군부대에 들어가 병역의무를 이행하는 ‘입영’이 존재하지 않아 이를 두고 병역법상 ‘징집’된 것으로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반려동물관리사 교육과정 모집
 Campus 라이프더보기
 건강·병원더보기
 법률/판결더보기
 교육더보기
 보건더보기
 환경더보기
 지역더보기
리스트페이지_R002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