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은총재 “3월 물가상승률 4.5% 예상...부동산 투자 생각해봐야”
  • 이승준 기자
  • 등록 2023-03-08 07:57:04

기사수정


[이승준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다음달 발표될 3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4.5%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7일 방송기자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물가와 관련해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8%로 낮아졌는데, 3월의 경우 4.5% 이하로 떨어지고 연말 3%대에 이를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또 “부동산 대마불사, 부동산 투자는 꼭 성공한다는 생각이 잡혀있는데, 고령화 등을 고려할 이 과거 트렌드가 미래에도 계속될지는 다시 한번 생각해봐야 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이자율 등 생각할 때 젊은이들이 자기 능력에 맞춰 고민하고, 더 신중하게 자산을 운용하라고 권하고 싶다”고 조언했다.


최근 정부가 추진하는 ‘은행 과점 체제 개선’과 관련해서는 지지와 우려를 함께 내비쳤다.


그는 “은행은 면허를 받는 산업이기 때문에 과점 체제 부작용을 막는 것은 당연하고, 정부가 개입해 예대금리차 정보를 공개하며 이윤을 성과급보다는 금융안정에 출자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면서도, “다만 민간 중심의 은행 산업 발전을 저해하지 않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변동금리 중심인 현재 은행 금리 체계의 구조적 문제도 지적했다.


이 총재는 “예대마진, 이자율 등에 많은 비판이 있는데, 국내 은행 대출의 대부분이 변동금리라서 다른 나라보다 이 문제가 더 두드러지는 것”이라면서, “20∼30년짜리 부동산 대출을 고정금리로 내주려면 은행들이 자기 위험 관리를 해야 하는데, 우리나라에는 국채 20∼30년짜리 선물 시장 등이 없어 은행이 헷지(위험 분산)할 방법이 없다. 구조 개선에 한은뿐 아니라 정부도 더 나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밖에 이 총재는 올해 성장 흐름에 대한 질문들에 기존 ‘상저하고’ 전망을 다시 확인했다.


그는 “상반기 1.1%, 하반기 2.0% 정도의 성장을 예상한다”면서, “3분기부터는 성장률이 반등하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경제일반더보기
 기업·산업더보기
 금융더보기
 부동산더보기
 뷰티더보기
 바이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