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교육부가 공개한 킬러 문항 22개..."대학서 배워야 풀 수 있어"
  • 박광준 기자
  • 등록 2023-06-26 19:36:47
  • 수정 2023-06-26 19:40:57

기사수정


[박광준 기자] 교육부가 사교육 경감 대책을 발표하면서 최근 3년간 대학수학능력시험과 올해 6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모의평가에서 출제된 문항 가운데 총 22개의 '킬러 문항'을 가려냈다.


교육부는 고차원적인 접근 방식, 추상적 개념 사용, 과도한 추론 필요 등을 이유로 이들' 킬러 문항'을 골라냈다고 밝혔다.


올해 수능에서는 이러한 종류의 킬러 문항을 출제 단계에서부터 배제하겠다고 강조했다.


킬러 문항 예시를 공개한 것은 올해 수능을 약 5개월 앞두고 수험생들이 혼란을 겪는 것을 막겠다는 취지이다.


그러나 킬러 문항 선정 기준이 여전히 모호해 과연 킬러 문항으로 볼 수 있을지에 대한 평가가 서로 다를 수 있고, 또한 킬러 문항 없이 어떻게 변별력을 확보할지 교육부가 명확히 제시하지 못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교육부가 공개한 국.영.수 킬러 문항 사례를 보면 2021학년도 수능에서 1개, 2022학년도 수능 7개, 2023학년도 수능 7개, 2024학년도 6월 모의평가 7개 등 총 22개이다.


영역별로는 국어 7개, 수학 9개, 영어 6개이다.


교육부가 2023학년도 수능 국어에서 확인한 킬러 문항/사진=교육부 제공


교육부는 킬러 문항을 공교육 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내용으로 사교육에서 문제 풀이 기술을 익히고 반복적으로 훈련한 학생들에게 유리한 문항으로 정의하고, 교육부.현장 교원 중심으로 킬러 문항 점검팀을 구성해 킬러 문항을 골라냈다고 설명했다.


킬러 문항 배제 방침 자체를 놓고서는 대체로 교육계는 찬성하는 분위기이다.


현 수능 출제 구조상 최상위 학생 변별을 위해 어느 정도 출제가 불가피하다는 의견도 있지만 대학 전공자가 풀기에도 난해하다는 지적은 일리가 있기 때문이다.


교원단체들도 킬러 문항 배제 방침이 나온 직후 일제히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그러나 킬러 문항 배제 방침과는 별도로 교육부의 킬러 문항 선정 기준이 모호해 수험생들의 혼란은 여전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교육부는 킬러 문항을 발표하면서 정답률 등 정량적인 지표는 참고로 활용했을 뿐이라며 공개하지 않았다.


킬러 문항에 대한 교육부의 입장이 바뀐 이유에 대해서도 명쾌한 설명을 내놓지 못했다.


그간 교육부는 매번 수능 때 교육과정 내에서 출제했다고 설명해 왔다.


출제를 주관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019학년도 수능부터 교육과정 안에서 어떤 성취기준을 충족해야 풀 수 있는지 개별 문항의 출제 근거도 공개해 왔다.


2023학년도 수능 국어 17번처럼 EBS 교재에서 연계해 낸 문제의 경우 수험생들이 접해본 지문이라는 점에서 킬러 문항 선정 자체가 이해할 수 없단 지적도 있다.


이와 관련해 김연석 교육부 책임교육정책관은 "(킬러 문항 선정 기준은) 전문가마다 의견 차이가 있을 수 있다"면서, "교육과정 안이냐, 밖이냐의 문제가 아니라 공교육에서 다룰 수 있느냐, 없느냐 하는 것이 기준"이라고 답변을 내놨다.


킬러 문항을 배제하고 변별력을 확보하는 문제와 관련해선 심민철 교육부 인재정책기획관은 "현장 교사들이 출제 기법 고도화에 참여해 현장 눈높이에 맞도록 (킬러 문항을) 스크리닝해 나가겠다"며 "이 부분은 9월 모의평가 때 보여드리겠다"고 말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반려동물관리사 교육과정 모집
 Campus 라이프더보기
 건강·병원더보기
 법률/판결더보기
 교육더보기
 보건더보기
 환경더보기
 지역더보기
리스트페이지_R002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