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수원, “한빛 1호기 사고, 무한한 책임 통감”
  • 디지털 뉴스팀
  • 등록 2019-08-11 16:25:30

기사수정
  • 원자력안전위원회, 한빛원전 1호기 특별조사 결과 발표...중복 지원조직 통폐합, 발전소 운영정비 인력 보강 등 약속


[디지털 뉴스팀] 한국수력원자력은 11일 “한빛 원전 1호기 원자로정지 사건으로 국민들께 많은 걱정과 심려를 끼친 점에 대해 무한한 책임을 통감한다”고 밝혔다.


앞서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지난 9일 전남 영광의 한빛 1호기 사건 특별조사 결과 및 재발방지대책을 포함한 조치계획을 의결하면서 “관련 법령과 절차서 위반, 운전자의 조작 미숙 등 복합적 ‘인재였다’고 결론지었다”면서 원안위는 한빛 1호기 주제어실 영상기록장치(CCTV)설치를 비롯해 4개 분야 26개 과제를 명령했다.


이날 한수원은 원안위의 재발방지대책에 대한 세부 이행계획과 11개 자체 과제를 수립해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한수원은 자체감사와 원안위 특별조사 결과, 한빛1호기 사건의 문제점을 △원자로 운전원의 직무 역량 부족 △정비원의 제어봉 조작 △시험 중 출력 변화에 대한 감시 소홀 △출력 급변 시 조치 미인지 △매뉴얼 미준수 등으로 확인했다.


이에 한수원은 원안위의 과제를 포함해 자체적으로 11개 과제를 수립, 이행할 것을 약속했다.

우선 인적오류의 재발방지를 위한 운영시스템을 개선한다. 원자로 운전원들이 발전소 상태 감시.진단과 기기 작동.시험시 절차를 준수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또 중복적인 지원 조직 및 기능을 통폐합하고 발전소 운영.정비 중심으로 인력을 보강키로 했다. 주제어실 내 운전원의 운전행위를 수시로 감시.지원하고 운전원이 미처 파악하지 못한 리스크 요인을 사전에 발굴할 수 있도록 보조 원자로 운전원을 신설한다.


발전소간 발전팀 인력도 순환배치한다. 또한 원전 운영능력 향상을 위한 정비분야 특별진단과 실무자 기술지원을 대폭 강화하고, 발전소 기동 단계의 품질검사 입회를 확대하고, 정비분야 취약요소에 대한 정밀 진단을 위해 한수원과 협력사간 통합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한다.


발전소 주변 지역사회 및 국민과의 소통도 늘린다. 지역주민을 대표하는 조직(원전 민간환경감시기구 등) 관련자가 필요시 원전 운영을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원전 정보공개 전용 포털 ‘열린원전운영정보’도 운영한다. 모바일을 통한 문자메시지 신청 등을 확대해 수신자를 늘려나갈 계획이다.


한수원 측은 “이번 추진 과제의 이행 현황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정부에 보고하고 관련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겠다”면서, “이행계획을 성실히 수행해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는 원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한수원은 이번 대책과 관련, 지난 9일 한상욱 한국수력원자력 기술전략본부장을 한빛원자력본부장으로 임명하는 등 본부장급 보직이동 인사를 단행했다.


앞서, 한빛 1호기 원전은 지난 5월10일 오전 10시30분 제어봉 인출로 원자로 출력이 18%까지 올라 제한치(5%)를 초과하는 비상 상황이 발생했다.


한수원은 원자로를 즉시 정지하지 않고 오후 10시 2분에야 수동 정지시켰다. 이런 사실을 원안위에 즉각 알리지 않았고, 무면허 정비원이 제어봉을 조작한 사실도 뒤늦게 확인됐다. 원안위는 한빛 1호기 사용 정지를 명령하고 특별사법경찰을 투입해 두달여간 조사를 진행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반려동물관리사 교육과정 모집
 Campus 라이프더보기
 건강·병원더보기
 법률/판결더보기
 교육더보기
 보건더보기
 환경더보기
 지역더보기
리스트페이지_R002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