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전문대-지자체 협력 지역특화 인재 양성에 450억 원 지원
  • 박광준
  • 등록 2022-03-23 20:35:57

기사수정


[박광준 기자] 전문대와 기초자치단체가 협력해 지역 고등직업교육의 거점 역할을 수행토록 지원하는 사업에 450억 원이 투입된다.


교육부는 23일 이 같은 내용의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사업' 기본계획을 제5차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확정한다고 밝혔다.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사업은 전문대학이 기초자치단체와 협력해 지역의 중장기 발전 목표에 맞게 지역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분야를 선정하고, 이에 교육체계를 연계.개편하는 사업이다.


사업에 참여하는 연합체(컨소시엄, 전문대학+기초자치단체)는 수도권, 충청.강원권, 대구.경북권, 부산.울산.경남권, 호남.제주권 등 권역별로 6개 안팎으로 선정하고, 선정된 연합체는 3년 동안 국고와 지방비를 지원받는다.


올해 선정된 30개 연합체에는 각각 15억 원의 예산이 지원된다. 사업비의 10%인 1.5억 원은 지방비로 부담한다.


참여 연합체는 연합체별로 사업추진 방향과 사업계획, 사업비 집행에 관한 사항 등을 심의.의결하는 '고등직업교육혁신위원회'를 구성.운영한다.


위원회는 전문대학 총장, 기초자치단체의 장, 교육지원청 교육장, 지역 상공회의소 회장 등 지역사회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로 구성된다.


또 기초자치단체의 중장기 발전 계획 등을 바탕으로 지역 특화 분야를 선정해 이에 맞춰 전문대학 내 학사조직 등을 개편하고, 지역 특화 학과와 연계한 직업교육 심화과정 등을 운영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사업에 대한 기초자치단체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키 위해 행정안전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 부처와 협업체계도 구축한다.


행정안전부는 기초자치단체가 지방소멸대응기금 투자계획을 수립할 때 연계할 수 있는 다부처 협업사업에 해당 사업을 포함하는 등 홍보 및 참여를 지원키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특화분야 선정과 관련하여 지역 내 산업 정보를 제공하고, 선정 이후 상생형 지역일자리 지원 사업과의 연계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역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인적·물적 기반이 집약된 전문대학과 기초자치단체 간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전문대학은 연계 지역 특화분야를 중심으로 체질 개선을 유도하고, 지역사회는 양질의 일자리와 안정적 정주 여건을 제공해 입학-교육-취업-정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가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천년 역사향기더보기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리스트페이지_R002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