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창원시 “경남 창원이 방위사업청 이전 최적지”
  • 한부길 기자
  • 등록 2022-02-28 11:53:12
  • 수정 2022-02-28 18:44:34

기사수정
  • 사천(우주항공), 거제(조선해양) 클러스터와 연계...세계 최고 첨단방산클러스터 구축 가능

창원시는 지난해 6월 23일부터 25일까지 창원컨벤션센터에서 방위사업청과 공동으로 ‘2021 방위산업 부품·장비대전(KCEF 2021)’을 개최했다.[창원 한부길 기자] 경남 창원시(시장 허성무)는 28일 제20대 대선후보 공약으로 제기되고 있는 공공기관 이전 공약과 관련해 “방위사업청 이전 최적지는 경남 창원시다”고 주장했다.


허성무 시장은 이날 “국내 최대 방산 집적도시이자, 국내 최초로 방산혁신클러스터 시범사업에 선정돼 지역 방위산업 생태계를 혁신적으로 조성 중인 창원시야말로 방산 메카이자 선도 도시”라면서 방위사업청의 창원 이전 필요성을 강조했다.


창원은 국가지정 방산업체 85개 중 17개사(20%)가 위치하고, 2020년 기준 국내 방산매출액(15.4조)의 27.3%(4.2조), 방산수출액(1.8조)의 33.5%(0.6조)를 차지하고 있어 국가 방위산업 경쟁력이 가장 우수하다. 


경남국방벤처센터, 국방기술품질원 기동화력센터, 국방과학연구소 해양기술연구원·기동시험장, 육.해군정비창, 재료연구원, 전기연구원, 경남테크노파크, 창원산업진흥원 등 방위산업관련 연구 기반시설 뿐만 아니라 국내 최대 방위산업 체계기업인 한화디펜스를 비롯한 현대로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위아, S&T중공업, STX엔진 등 현장의 방산 대.중.소 기업이 공존.집적함으로써 연구개발과 생산이 함께 이뤄지고 있는 곳이 바로 창원이다고 설명했다.


또한, 기존의 경남창원방산혁신클러스터뿐만 아니라 인근의 조선해양 클러스터(거제) 및 항공우주 클러스터(사천)와 융합한 방위산업 클러스터 구축을 통해 방위산업이 내수 중심을 넘어 첨단무기 수출 산업화로 국가 경제 신성장 동력 확보에  가장 유리하다고 밝혔다.


이어 방위사업청이 창원으로 이전할 경우 ▲ 방위산업의 수출산업화를 통한 지역업체 낙수효과 증가 ▲ 방산 관련 지역특화형 소재.부품.장비 및 뿌리산업 동반성장으로 일자리 창출 ▲ 방위사업청 소재에 따른 지역 방산 기업의 편의성 및 자부심 제고 ▲ 방산혁신클러스터 시범사업 성과 전국 확산 ▲ 수도권 중심의 1차 공공기관 이전한계 극복과 국가 균형발전 기대 ▲ 인구유입 및 우수인재 영입으로 지역 경쟁력을 강화하고 도시 브랜드 제고 등의 효과가 있다고 주장했다.


허성무 시장은 “방위산업 연구시설과 대중소 방산기업 간의 협력체계를 통한 세계 최고 수준의 첨단방위산업클러스터 구축으로 국방 첨단화와 수출 산업화 달성이 가능할 것이며, 신성장 동력과 글로벌 방산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방위사업청의 창원 이전이 필요하다”면서, “대선 후보 공약으로 방위사업청 창원 이전이 실현되길 희망하고,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강력하게 추진되길 건의드린다”고 말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경제일반더보기
 기업·산업더보기
 금융더보기
 부동산더보기
 뷰티더보기
 바이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