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재정.통화.금융당국 “소상공인 금융지원, 채권 시장.물가 안정 논의”
  • 우성훈 기자
  • 등록 2022-02-11 10:36:40

기사수정

사진/기획재정부 제공[우성훈 기자]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재정, 통화, 금융 당국 수장이 모인 자리에서 소상공인에 대한 ‘대출 만기 연장, 상환 유예 조치’ 연장 여부를 포함해 소상공인의 금융 애로를 지원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또 채권 시장 안정과 물가 안정 방안을 협의했다.


홍남기 부총리는 11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와 정은보 금융감독원장, 도규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을 만나 확대 거시경제금융회의를 개최하고, 모두 발언을 통해 이 같은 안건을 알렸다.


부총리는 “최근 유동성 관리 흐름 속에 소상공인 금융 애로 지원은 어떻게 해 나갈 것인지, 누적된 금융 불균형 완화 과정과 이에 잠재된 리스크는 어떻게 대응해 나갈 것인지 등을 협의해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최근 국채시장 금리 안정을 위해 한은이 2조 원 규모 국고채 단순매입 조치를 했는데 채권시장 안정을 위한 향후 대응도 추가 논의하겠다”고 덧붙였다.


최근 물가와 관련해서는 “올해 물가 상고하저 흐름 양상 속에 상반기 다양한 물가 제어 대응 방향을 협의하고 특히 근원물가 상승 억제와 기대 인플레이션 안정 등에 초점을 두겠다”고 밝혔다.


우리 경제를 둘러싼 위험 요인에 대해서는 ‘사전 대비와 관리’를 강조했다.


홍 부총리는 최근 세계 경제 회복세 둔화, 고유가 및 글로벌 인플레, 주요국 통화 기조 정상화, 미·중 G2 갈등 및 우크라이나 등을 위험 요인으로 언급했다.


그러면서 “그간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예측 가능한 위험임에도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해 불거지는 이른바 ‘화이트 스완’이 결코 되지 않도록 철저한 사전대비·관리가 긴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관리의 핵심에는 가계부채와 소상공인 대출이 있다는 사실도 분명히 했다.


이날 회의에서도 이를 집중적으로 논의하고, 특히 ‘소상공인 대출 만기연장.상환유예 연장 여부’, 한은의 금융중개지원대출을 통한 자영업자 지원기한 상황을 점검한다고 정부는 예고했다.


부총리는 “정책 당국 간 협력뿐 아니라 민간 금융권의 협력도 절실하다”면서, “민간 금융권이 자율적으로 나서 달라”고 참여를 요청했다.


그는 “지난해 민간 금융권의 이익이 사상 최고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가능하다면 금융권이 자율적으로 나서 소상공인들의 금융 애로를 조금이라도 덜어드리는 선제적 상생협력 모습도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이와 함께 우크라이나 사태 악화 시 우리 실물경제와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긴급 대응 방안이 논의됐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경제일반더보기
 기업·산업더보기
 금융더보기
 부동산더보기
 뷰티더보기
 바이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