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포스코, 18년 만에 자사주 소각…"내년 1만원 이상 배당”
  • 우성훈
  • 등록 2022-01-05 18:05:56

기사수정
  • 이달 28일 임시 주총 앞두고 주주친화책 강화..."지주사 체제선 인식 변화로 가치 반영될 것"
  • 포스코, 18년 만에 자사주 소각…"내년 1만원 이상 배당”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이 지난 3일 2022년 시무식에서 신년사를 발표하고 있다./사진=포스코그룹

[우성훈 기자] 포스코가 지주회사 체제로의 전환을 앞두고 자사주를 소각하고 배당을 확대하는 등 주주 환원정책을 추진키로 했다. 100% 자회사로 분할되는 철강 사업회사 포스코를 상장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밝힌 데 이어 주주 친화정책을 추가로 발표해 지주사 체제 전환을 위한 물적 분할에 반대하는 주주를 달래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포스코는 5일 공개한 ‘2022년 임시주주총회 참고자료’에서 현재 포스코가 보유한 자사주 1160만주(13.3%) 가운데 일부를 연내 소각하겠다고 밝혔다.


올해까지 중기 배당정책 기준인 지배지분 연결 순이익의 30% 수준을 배당으로 지급하고, 내년부터 기업가치가 높아질 것을 고려해 최소 1만원 이상으로 배당을 확대한다는 방침도 발표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구체적 자사주 소각 시점이나 수량은 결정되지 않았다”면서도, “연내 자사주 일부 소각을 추진하고 기업가치에 상응하는 배당금 정책을 지속적으로 시행해 주주 가치를 높이는 데 힘쓸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안에 포스코가 자사주를 소각한다면 2004년 이후 18년 만의 일이다. 앞서 포스코는 △2001년 290만주 △2003년 180만주 △2004년 180만주 등 세 차례에 걸쳐 자사주 취득 후 소각을 실시했고 2002년 보유한 자사주 280만주를 소각했다.


포스코가 주주 친화책에 나선 배경엔 실적과 주가 간 괴리가 있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포스코는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 경신을 눈앞에 뒀지만 주가는 연중 40만원을 웃돌면서 9년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지만 결국 지난 한 해 동안 1% 오르는 데 그쳤다. 같은 기간 코스피가 4% 상승한 것과 비교된다. 자사주 소각으로 주당 가치를 높이겠다는 계산이다.


지주사 체제 전환을 위한 물적 분할을 앞두고 주주 설득에 나섰다는 관측도 있다. 포스코는 오는 28일 임시 주총에서 철강 사업회사 포스코를 떼어내 지주회사 포스코홀딩스의 100% 자회사로 두는 물적 분할 안건을 확정할 예정이다. 기업 분할 안건이 통과되려면 발행 주식 총수의 3분의 1 이상 출석해야 하고 출석 주주의 3분의 2 이상이 동의해야 한다.


지난해 3분기 기준 포스코의 지분 구조는 국민연금공단(9.75%)·시티뱅크.N.A(7.3%)·우리사주조합(1.41%) 등 18%가량을 제외하면 나머지 80%는 외국인투자가.기관투자가.개인투자자 등이 보유한다. 특히 포스코의 소액주주 비율은 2020년 기준 74.3%(5655만주)에 달해 포스코로선 일부 투자자의 반발을 잠재울 카드가 필요한 상황이다.


포스코는 주주가 가장 우려하는 철강사업 자회사 포스코의 상장 가능성 원천 봉쇄에 나섰다. 포스코의 정관에 ‘제3자 배정’ ‘일반 공모’ 등 상장에 필요한 규정을 포함하지 않기로 했을 뿐 아니라 포스코가 국내외 증권시장에 상장할 때 포스코홀딩스의 주주총회 특별결의 승인을 거치도록 하는 내용도 추가했다.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은 이날 ‘포스코 주주님께 드리는 서한’에서 지주사 체제 전환 이후에도 철강 자회사를 상장하지 않겠다는 뜻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최 회장은 “포스코는 철강 자회사의 정관에 상장을 위한 규정을 일절 반영하지 않기로 했다”며 “주요 신사업을 분할해 별도법인으로 설립하는 때도 상장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포스코의 시가총액은 지난 2007년 최고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저평가돼 있다”며 “아직도 저성장 철강 주식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이어서 새로운 성장사업의 잠재력이 거의 인정받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회사의 경영구조를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면 철강과 신사업 간의 균형성장이 가속화되고, 사업 정체성 또한 철강에서 친환경 소재기업이라는 인식이 확산돼 성장주로서의 노력이 기업가치에 제대로 반영될 수 있을 것”이라며 지주사 체제 전환에 힘을 실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경제일반더보기
 기업·산업더보기
 금융더보기
 부동산더보기
 뷰티더보기
 바이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