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교육부, 국고 1,080억 투입해 주요 지방대.지역 혁신 추진
  • 박광준 기자
  • 등록 2020-07-16 11:12:55

기사수정


[박광준 기자] 교육부가 1,000억 원 이상의 국고를 투입해 주요 지역 대학을 혁신할 방침이다.


교육부는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선정 결과 경남과 충북, 광주.전남 지역에서 신청한 사업을 선정했다고 16일 밝혔다.


주요 공공 기관을 지방으로 이전하고 지역인재 채용제도까지 도입했지만, 여전히 지방대 졸업생의 취업난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지역이 혁신하려면 지역 대학의 혁신이 병행돼야 한다는 취지에서 이 사업이 추진됐다고 교육부는 설명했다.


예를 들어 지방대학과 지방의 다양한 기관들이 특정 플랫폼을 구축해서 지역의 중장기 발전 목표에 부합하는 지역 핵심분야를 선정하면, 지역 내 대학이 핵심분야와 연계해 교육체계를 개편하고 지역 기관과 협업해 과제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사업은 진행된다. 


우선, 경남은 경상대와 창원대, 경남대 등 17개 대학이 LG전자와 한국항공우주산업(KAI)·한국전기연구원 등 49개 지역혁신기관과 플랫폼을 구성해서, 제조엔지니어링 분야와 제조정보통신기술(ICT), 스마트공동체라는 3개 핵심분야가 지원 사업으로 선정됐다.


충북은 충북대와 한국교통대 등 15개 대학을 중심으로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과 충북산학융합본부.충북창조경제혁신센터 등 44개 지역혁신기관이 제약바이오와 정밀의료.기기, 화장품.천연물 등 바이오산업과 관련된 3개 분야가 핵심분야로 선정됐다.


이번 사업에는 비수도권 14개 모든 시도가 10개 플랫폼을 구성해 지원했고, 교육부는 평가를 거쳐 지원 대상을 선정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지역의 노력을 뒷받침하기 위해 특히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을 연내 개정해서 플랫폼 구축지역에 고등교육 규제샌드박스 체제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반려동물관리사 교육과정 모집
 Campus 라이프더보기
 건강·병원더보기
 법률/판결더보기
 교육더보기
 보건더보기
 환경더보기
 지역더보기
리스트페이지_R002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