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삼성, ‘시민단체 후원 무단 열람’ 사과
  • 우성훈 기자
  • 등록 2020-02-28 20:00:45

기사수정


[우성훈 기자] 삼성이 28일 지난 2013년 5월 당시 미래전략실이 임직원들의 시민단체들에게 기부한 내역을 열람한 데 대해 공식 사과했다. 삼성이 준법감시위원회의 요구를 받아들인 첫 조치이다. 


삼성전자를 비롯한 17개 삼성 계열사들은 이날 공식 사과문을 통해 “임직원들이 후원한 10개 시민단체를 ‘불온단체’로 규정하고 후원 내용을 동의 없이 열람한 것은 절대 있어서는 안 될 명백한 잘못이었음을 인정한다”고 밝혔다.


이어 “임직원 여러분과 해당 시민단체, 관계자분들께 진심으로 사과 드린다”면서, “다시는 이 같은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경영진부터 책임지고 앞장서서 대책을 수립, 철저하고 성실하게 이행해 내부 체질과 문화를 확실히 바꾸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삼성은 또 “임직원들에게도 회사의 잘못에 대해 사과하고 재발방지를 약속했다”면서, “그동안 우리 사회와의 소통이 부족해 오해와 불신이 쌓였던 것도 이번 일을 빚게 한 큰 원인이 됐다는 점 또한 뼈저리게 느끼며, 깊이 반성한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해 삼성전자 서비스 노조 와해 혐의 재판에서 삼성 미래전략실이 진보성향 시민단체를 불온단체로 분류하고 계열사 임직원들이 이들 단체에 후원한 내용을 파악한 사실이 검찰을 통해 확인됐다. 


이에 대해 삼성 준법감시위는 지난 13일 회의에서 시민단체 기부금 후원내역 무단열람 건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명하고 진정성 있는 사과와 재발방지를 촉구했다. 


이번 삼성의 사과와 관련해 시민단체들의 연대 조직인 ‘삼성의 불법 사찰에 대한 시민단체 공동대응’은 성명서를 통해, “이재용 부회장의 국정농단 파기환송심 양형에 영향을 주기 위한 ‘꼼수 사과’ ‘위장사과’에 불과하다”면서 비난했다.


이들은 특히 “삼성의 불법사찰은 단순히 시민단체 후원 내역을 열람한 것이 아니라 노동조합 관련 직원들을 ‘문제인력’으로 특정하고, 이른바 ‘불온단체’ 명단을 만든 뒤 ‘문제 인력’의 후원 내역을 바탕으로 밀착 감시를 한 범죄”라고 지적했다.


시민단체들은 또 “준법감시위원회의 권고에 따른 사과라고 했지만, 위원회가 삼성의 범죄에 대한 기본적인 사실관계조차 파악하지 못한 임의조직에 불과함을 보여준 것”이라고 말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경제일반더보기
 기업·산업더보기
 금융더보기
 부동산더보기
 뷰티더보기
 바이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