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부산시, 응급의료기관 심정지 환자 수용력 향상 대책 모색
  • 박상기 기자
  • 등록 2024-02-06 17:07:59

기사수정
  • 부산시, 지역 응급의료센터장들과 대책회의

부산시청/부산시 제공[박상기 기자] 심정지로 쓰러진 60대가 인근 대학병원 응급실에서 치료를 받지 못하고 다른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끝내 숨진 사고와 관련해 부산시가 대책 마련에 나섰다.  


부산시는 지난 2일 오후 시청에서 응급의료센터장들과 심정지 환자 수용력 향상을 위한 대책 회의를 개최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회의는 최근 의료진 부족으로 최단 거리 응급의료기관에서 심정지 환자를 수용하지 못하는 사례가 발생함에 따라 관련 대책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회의에서 응급의료센터장들은 심정지 환자 발생 장소의 최단 거리 응급의료기관에서 심정지 환자를 반드시 수용해 심폐소생술 등 필수 조치가 시행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입을 모았다.


또, 심정지 환자 소생 후 처치가 어려움 경우 응급의료기관의 여건에 따라 처치가 가능한 곳으로 빠르게 전원할 수 있도록 협력해 치료의 완결성을 높이는 것에도 공감대를 형성했다.


한편, 시는 응급환자 이송 체계 마련 등 지역응급의료 강화를 위해 올해 상반기 중 '응급의료지원단'을 설치할 계획이다.


'응급의료지원단'은 지역 응급의료 현황을 분석해 맞춤형 응급의료정책을 개발하고, 응급환자 이송체계 마련 등 지역 응급의료와 관련한 전반에서 역할을 하게 된다.


부산시 이소라 시민건강국장은 "응급의료, 소아의료 등 필수의료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응급의료지원단을 조속히 설치해 지역 맞춤형 응급환자 이송체계 등 강화된 응급의료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부산에는 현재 권역응급의료센터 1곳과 지역응급의료센터 7곳 등 모두 28곳의 응급의료기관이 운영되고 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천년 역사향기더보기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리스트페이지_R002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