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부산시 2024 시정 업무계획 보고회...글로벌 허브도시 도약 기반 조성
  • 박상기 기자
  • 등록 2024-01-16 14:35:19

기사수정
  • 경제 혁신 성장 거점도시.시민안전 환경도시 등 5대 분야 점검

부산광역시가 18일까지 박형준 시장 주재로 2024년도 시정 업무계획 보고회를 개최한다/부산시

[박상기 기자] 부산시가 올해 ‘글로벌 허브도시’ 도약을 위한 기반 조성에 시정의 모든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시는 15일부터 18일까지 박형준 부산시장 주재로 2024년도 시정 업무계획 보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업무계획 보고회는 △경제 혁신.성장 거점도시 △시민안전 환경도시 △지속가능 균형발전 도시 △문화.관광.복지 도시 △시민행복 시정 구현 등 5대 분야별로 나눠 진행된다.

 

올해 업무계획 보고회는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 창출에 방점을 둔다.

 

박 시장은 이번 보고회를 통해 각 분야의 업무계획을 각 실.국.본부장으로부터 올해 중점 시정 운영방향과 목표, 분야별 역점시책과 현안사업에 대한 계획을 점검하고 논의한다.

 

앞서 박 시장은 올해 업무계획을 도전적 목표설정과 함께 구체적인 로드맵을 수립하고 속도감 있게 정책들을 이끌어가도록 지시한 바 있다.

 

올해 업무계획 보고회는 그 설계도에 따라 시정의 변화를 이끌겠다는 각오를 다지는 자리로 볼 수 있다.

 

첫 보고회는 민생과 함께하는 따뜻한 시정을 실현하겠다는 의지를 담아 자갈치시장에 있는 소상공인종합지원센터에서 개최했다.

 

이는 민생과 함께하는 따뜻한 시정을 실현하겠다는 의지와 성과를 담은 것이다.

 

소상공인종합지원센터는 어려운 경제 여건 속에서도 부산 경제를 떠받치는 저력인 소상공인들의 혁신과 성장을 종합지원하기 위해 2022년 개소, 소상공인의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하고 있다.

 

연초 업무보고회를 통해 민선8기 부산이 지향하는 ‘다시 태어나도 살고 싶은 시민행복도시 부산’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이라는 양대 목표를 다시 한번 확인했다.

 

이는 올 한해 ‘글로벌 허브도시 도약을 위한 기반 조성’을 핵심 목표로 모든 시정 역량이 부산의 글로벌 역량을 높여나가는 데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중소상공인 지원, 골목상권 활성화, 지역산업 고도화, 인공지능(AI)·양자기술 산업 육성, 미래 인재양성 등 혁신기반 구축과 전략적 투자유치, 창업 활성화 등으로 세계 속 부산의 입지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글로벌 허브도시 핵심 요소인 국내외 금융기관 유치와 디지털 금융 육성 등 금융중심지 조성과 지산학 협력의 창업·교육도시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이어 16일부터는 △(2차)시민안전.환경 △(3차)지속가능 균형발전 △(4차)문화.관광.복지 △(5차)시민행복 시정 구현 등 분야별 업무보고를 차례로 시청에서 진행해 내실 있는 논의를 이어간다.

 

문화.관광.복지 분야에서는 세계적 수준의 문화.관광.체육 인프라 조성과 글로벌 콘텐츠 확충, 시민복지 강화를 위한 부산형 통합돌봄과 사회서비스 강화에 역점 등이 논의된다.

 

17일에는 가덕도신공항 및 공항복합도시 조성, 동북아 물류플랫폼 조성과 부산형 급행열차(BuTX) 구축 등 글로벌 물류.거점 도시 조성에 관해 논의하고 세계적 문화.관광.체육 인프라 조성과 글로벌 콘텐츠 확충, 부산형 통합돌봄 등에 대한 계획을 보고한다.

 

18일에는 부산 도시브랜드 경쟁력 강화, 고강도 재정혁신, 적극행정 강화 등 시정혁신에 대한 논의가 이어진다.

 

박 시장은 “2024년은 특별법 제정 등 부산이 글로벌 허브도시이자 진정한 대한민국의 중추도시로 나아갈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한 해가 될 것”이라면서, “시정 전 분야에서 글로벌 역량을 높여나갈 수 있도록 올 한해 시정 전반에 능동적인 변화와 창의적인 혁신을 불러일으키는 데 최선을 다해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또 박 시장은 “시민들의 행복하고 편안한 삶을 위해 민생안정과 활력있는 경제생태계 조성에도 심혈을 기울여 나갈 것이다”고 강조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천년 역사향기더보기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리스트페이지_R002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