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노년층 취업자 60만 육박, 청년층 첫 추월
  • 이승준 기자
  • 등록 2024-01-14 18:23:44

기사수정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이승준 기자] 제조업 취업자의 연령대가 빠르게 높아지면서 노년층 취업자 수가 60만 명에 육박해 처음으로 청년층을 넘어섰다.


14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의하면 지난해 제조업 취업자 가운데 60세 이상은 지난해보다 5만1천 명 늘어난 59만9천 명으로 집계됐다.


20대 이하는 전년보다 3만3천 명 줄어든 55만5천 명으로 나타나, 60세 이상보다 4만4천 명 적었다.


제조업에서 60세 이상 취업자가 10∼20대보다 많은 건 2014년 산업 분류 개편 이후 지난해가 처음이다.


최근 9년 새 연령대별 변화를 살펴보면 50대를 기점으로 양분돼 50대 이상은 늘어나지만 40대 이하는 줄어드는 흐름을 보였다.


60세 이상 취업자는 2014년 23만1천 명에서 지난해 59만9천 명으로 36만8천 명 급증했다.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14년 5.2%에서 2021년 10%를 넘더니 지난해는 13.4%로 나타났다.


인구 고령화, 퇴직하지 않고 계속 일하려는 욕구 등으로 일하는 노년층이 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젊은 층의 제조업 현장 기피 현상으로 신규 직원 채용이 어려워지면서 기존에 일하던 근로자가 고령층이 되어 계속 일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다양한 제조업 분야 가운데 60세 이상은 주로 식료품 제조업이나 기타 기계·장비, 금속 가공제품 등에서,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에서 일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50대도 2014년 103만6천 명에서 지난해 108만4천 명으로 4만8천 명 늘었다.


경제 주축이 되는 30대와 40대는 큰 폭으로 감소했다.


가장 많이 줄어든 연령대는 30대이다.


30대는 2014년 124만7천 명에서 지난해 105만7천 명으로 19만명 감소했다.


40대도 9년 새 15만4천 명 줄어 지난해 116만5천 명을 기록했다.


20대 이하는 2014년 62만5천 명에서 지난해 55만5천 명으로 7만 명 감소했다.


오랜 기간 청년 최다 취업 업종으로 꼽혔던 제조업은 청년의 제조업 기피 현상, 고졸 취업 청년의 감소 등으로 취업자가 줄고 있다.


지난해 20대 제조업 취업자는 54만5천 명으로 숙박·음식점업 취업자(57만4천 명)에 밀리기도 했다.


한국의 제조업 고령화 속도가 미국, 일본과 비교해 빠르다는 분석도 나온 바 있다.


한국경제인협회에 의하면 한국의 제조업 근로자 평균연령은 2021년 43.0세로, 2011년(39.2세)보다 3.8세 높아졌다.


같은 기간 일본은 41.6세에서 43.1세로 1.5세 증가, 미국은 44.1세에서 44.2세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경제일반더보기
 기업·산업더보기
 금융더보기
 부동산더보기
 뷰티더보기
 바이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