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국의 서원 82] 붕당의 시대에도 끝까지 도덕성 지켜 낸 미수 허목 ‘나주 미천서원’
  • 이승준 기자
  • 등록 2022-09-23 05:47:50
  • 수정 2022-09-23 05:48:53

기사수정


[이승준 기자] 전라남도 나주시에 있는 조선후기 허목을 추모키 위해 창건한 서원으로, 1690년(숙종 16) 지방유림의 공의로 허목(許穆)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키 위해 창건, 위패를 모셨다.


1693년 ‘眉泉(미천)’이라는 사액됐다. 이 서원은 1724년(경종 4)에 훼철됐다가, 1771년(영조 47)에 사우를 중수하고 서원의 모습을 갖췄고, 1799년(정조 23) 채제공(蔡濟恭)을 추가 배향했다.


허목은 조선후기 성균관제조, 이조판서, 우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으로, 1595년(선조 28)에 태어나 1682년(숙종 8)에 사망했다. 과거를 보지 않고 학문과 글씨에 전념해 독특한 전서를 완성했다. 예론에 뛰어나 두 차례 예송 논쟁에서 서인의 영수 송시열을 대상으로 남인의 주장을 대변했다. 



현종 대에는 서인의 주장이 관철되면서 좌천됐으나 숙종 대에 남인의 주장이 채택돼 대사헌을 거쳐 우의정에 올랐다. 경신대출척으로 서인이 집권하자 파직돼 저술과 후진양성에 전념했다. 학문적으로는 주자학 일존주의에서 벗어나 원시유학을 중시했다.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문보(文甫).화보(和甫), 호는 미수(眉叟). 찬성 허자(許磁)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별제 허강(許橿)이고, 아버지는 현감 허교(許喬)이고, 어머니는 정랑 임제(林悌)의 딸이다. 부인은 영의정 이원익(李元翼)의 손녀이다.


1615년(광해군 7) 정언눌(鄭彦訥)에게 글을 배우고, 1617년 거창현감으로 부임한 아버지를 따라가서 문위(文緯)를 사사했다. 또한 그의 소개로 정구(鄭逑)를 찾아가 스승으로 섬겼다. 1624년(인조 2) 광주(廣州)의 우천(牛川)에 살면서 자봉산(紫峯山)에 들어가 독서와 글씨에 전념해 그의 독특한 전서(篆書)를 완성했다.



1626년 인조의 생모 계운궁 구씨(啓運宮具氏)의 복상(服喪)문제와 관련해 유신(儒臣) 박지계(朴知誡)가 원종의 추숭론(追崇論)을 제창하자, 동학의 재임(齋任)으로서 임금의 뜻에 영합해 예를 혼란시킨다고 유벌(儒罰)을 가했다.


이에 인조는 그에게 정거(停擧)를 명했다. 뒤에 벌이 풀렸는데도 과거를 보지 않고 자봉산에 은거해 학문에만 전념했다. 1636년 병자호란을 당해 영동(嶺東)으로 피난했다가 이듬해 강릉.원주를 거쳐 상주에 이르렀다.


1638년 의령의 모의촌(慕義村)에서 살다가 1641년 다시 사천으로 옮겼다. 그 뒤 창원.칠원(漆原) 등지로 전전하다가 1646년 마침내 경기도 연천의 고향으로 돌아왔다. 다음 해 어머니의 상을 당하자 상중에 ‘경례유찬(經禮類纂)’을 편찬하기 시작해 3년 뒤에는 상례편(喪禮篇)을 완성했다.



1650년(효종 1) 정릉참봉에 제수됐으나 1개월 만에 사임했다. 이듬해 내시교관이 된 뒤 조지서별좌(造紙署別坐).공조좌랑 등을 거쳐 용궁현감에 임명됏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1657년 공조정랑에 이어 지평에 임명됐으나, 효종을 만나 소를 올려 군덕(君德)과 정폐(政弊)를 논하고 사임을 청했다. 그 뒤 사복시주부로 옮겼으나 사직하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1659년 장령이 돼 군덕을 논하는 소를 올렸고, 또한 당시 송시열(宋時烈).송준길(宋浚吉) 등이 주도하는 북벌정책에 신중할 것을 효종에게 간하는 옥궤명(玉几銘)을 지어 바쳤다. 이어 둔전의 폐단을 논했다. 같은 해 효종이 죽자 소를 올려 상례를 논했고, 장악원정(掌樂院正)에 임명됐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1660년(현종 1) 경연(經筵)에 출입했고, 다시 장령이 됐다. 그 때 효종에 대한 조대비(趙大妃)의 복상기간이 잘못됐으므로 바로잡아야 한다고 상소해 정계에 큰 파문을 던졌다. 이를 기해복제라 한다. 당시 송시열 등 서인(西人)은 ‘경국대전’에 의거해 맏아들과 중자(衆子)의 구별 없이 조대비는 기년복(朞年服)을 입어야 한다고 건의해 그대로 시행됐다. 그러나 실은 의례(儀禮) 주소(註疏)에 의거해 효종이 체이부정(體而不正), 즉 아들이기는 하지만 맏아들이 아닌 서자에 해당된다고 해석해 기년복을 주장했던 것이다.



이에 대해 그는 효종이 왕위를 계승했고 또 종묘의 제사를 주재해 사실상 맏아들 노릇을 했으니 어머니의 맏아들에 대한 복으로서 자최삼년(齊衰三年)을 입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복제논쟁의 시비로 정계가 소란해지자 왕은 그를 삼척부사로 임명했다. 여기서 그는 향약을 만들어 교화에 힘썼고, ‘척주지(陟州誌)’를 편찬하는 한편, ‘정체전중설(正體傳重說)’을 지어 삼년설을 이론적으로 뒷받침했다.


1674년 효종 비 인선왕후(仁宣王后)가 죽자 조대비의 복제문제가 다시 제기됐다. 조정에서는 대공복(大功服)으로 9개월을 정했으나 대구 유생 도신징(都愼徵)의 상소로 다시 기해복제가 거론됐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맏아들.중자의 구별 없이 부모는 아들을 위해 기년복을 입는다고 규정했으나, 며느리의 경우 맏며느리는 기년, 중자처는 대공으로 구별해 규정했다. 그런데 인선왕후에게 대공복(大功服)을 적용함은 중자처(衆子妻)로 대우함이고, 따라서 효종을 중자로 보기 때문이라는 것이었다. 



이에 대한 근거는 ‘경국대전’이 아니라 고례(古禮)의 체이부정설이었다. 이는 효종의 복제와 모순되는 것으로서 새로 즉위한 숙종의 노여움을 사게 됐다. 이러한 일로 송시열 등 서인은 몰리게 되고 그의 견해가 받아들여져 대공복을 기년복으로 고치게 됐다.


이로써 서인은 실각하고 남인의 집권과 더불어 그는 대사헌에 임명됐다. 그러나 사직소를 올렸고, 병이 나자 숙종은 어의를 보내어 간호하기까지 했다. 


1675년(숙종 1) 이조참판.비국당상(備局堂上).귀후서제조(歸厚署提調) 등을 거쳐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승진하고, 의정부우참찬 겸 성균관제조로 특진했다. 이어 이조판서를 거쳐 우의정에 승진돼 과거를 보지 않고도 유일(遺逸)로서 삼공(三公)에 올랐다. 그 해 덕원(德源)에 유배 중이던 송시열에 대한 처벌 문제를 놓고 영의정 허적(許積)의 의견에 맞서 가혹하게 처벌할 것을 주장했다.



이로 인해 남인은 송시열의 처벌에 온건론을 주장하던 탁남(濁南)과 청남(淸南)으로 갈라졌고, 그는 청남의 영수가 됐다.


그 뒤 지덕사(至德祠)의 창건을 건의하고, 체부(體府).오가작통법(五家作統法).지패법(紙牌法).축성(築城) 등을 반대했고, 그 해 왕으로부터 궤장(几杖)이 하사됐다. 이듬해 차자(箚子)를 올려 치병사(治兵事).조병거(造兵車) 등 시폐(時弊)를 논했다.


그러나 사임을 아무리 청해도 허락하지 않아 성묘를 핑계로 고향에 돌아왔으나 대비의 병환소식을 듣고 다시 예궐했다. 특명으로 기로소당상(耆老所堂上)이 됐는데 음사(蔭仕)로서 기로소에 든 것은 특례였다. 1677년 비변사를 폐지하고 북벌준비를 위해 체부를 설치할 것과 재정보전책으로 호포법(戶布法) 실시를 주장하는 윤휴(尹鑴)에 맞서 그 폐(弊)를 논하고 반대했다. 



이듬해 판중추부사에 임명됐으나 곧 사직하고 낙향해, 나라에서 집을 지어주자 은거당(恩居堂)이라 명명했다. 1679년 강화도에서 투서(投書)의 역변(逆變)이 일어나자 상경해 영의정 허적의 전횡을 맹렬히 비난하는 소를 올렸다. 


이듬해 경신대출척으로 남인이 실각하고 서인이 집권하자 관작을 삭탈당하고 고향에서 저술과 후진양성에 전심했다. 그는 이기론(理氣論)에 있어서 기(氣)는 이(理)에서 나오고 이는 기에서 행하므로, 이기를 분리시킬 수 없다고 주장했다. 


또한, 독특한 도해법(圖解法)으로 해설한 ‘심학도(心學圖)’와 ‘요순우전수심법도(堯舜禹傳授心法圖)’를 지어 후학들을 교육했다. 사후 1688년 관작이 회복되고, 숙종은 예장(禮葬)의 명령을 내려 승지를 보내어 치제(致祭)했고, 자손을 등용토록 하고 문집을 간행하게 했다. 그림.글씨.문장에 모두 능했다. 글씨는 특히 전서에 뛰어나 동방 제1인자라는 찬사를 받았다.


작품으로 삼척의 척주동해비(陟州東海碑), 시흥의 영상이원익비(領相李元翼碑), 파주의 이성중표문(李誠中表文)이 있고, 그림으로 묵죽도(墨竹圖)가 전한다. 저서로는 ‘동사(東事)’ ‘방국왕조례(邦國王朝禮)’ ‘경설(經說)’ ‘경례유찬(經禮類纂)’ ‘미수기언(眉叟記言)’이 있다.



1691년 그의 신위(神位)를 봉안하는 사액서원으로 미강서원(嵋江書院)이 마전군(麻田郡)에 세워졌고, 나주의 미천서원(眉川書院), 창원의 회원서원(檜原書院)에도 제향됐다. 시호는 문정(文正)이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해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됐다가, 1892년 유림에 의해 복원됐다. 경내의 건물로는 3칸의 영정각, 좌우 각 1칸씩의 장판각(藏板閣), 내삼문(內三門), 4칸의 강당, 동소문(東小門)·서소문(西小門).외삼문(外三門), 3칸의 고사(庫舍) 등이 있다. 


영정각에는 허목과 채제공의 위패가 봉안돼 있고, 장판각에는 문집목판 1,816판이 소장돼 있다. 중앙의 마루와 양쪽 협실로 된 강당은 여러 행사와 학문의 강론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매년 3월과 9월 9일에 향사를 지내고 있고, 제품(祭品)은 4변(籩) 4두(豆)이다. 


1977년 전라남도 기념물로 지정됐다./사진-윤정숙 기자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한국의 전통사찰더보기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조선왕릉 이어보기더보기
 한국의 서원더보기
 전시더보기
 한국의 향교더보기
 궁궐이야기더보기
 문화재단소식더보기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