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소득 상위 10~30% 총자산, 1년 만에 1억4천만원 늘어
  • 이승준 기자
  • 등록 2021-12-05 17:44:07
  • 수정 2021-12-18 11:45:03

기사수정


[이승준 기자] 코로나19 확산에도 국내 소득 상위 10∼30%에 해당하는 가구들의 총자산이 1년 새 1억5천만 원 가까이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금융지주 금융경영연구소는 5일 발간한 '2021년 자산관리 고객 분석 보고서: 팬데믹 시대의 대중부유층(mass affluent)'에서 지난 9∼10월 가구 소득 상위 10∼30%(세전 7천만∼1억2천만 원)에 해당하는 개인을 대중부유층으로 정의하고 전국 4천 명을 설문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의하면 대중부유층의 올해 평균 총자산은 9억1천374만 원으로, 지난해보다 1억4천901만 원 늘었다.


부채는 2천962만 원 늘어난 1억4천834만 원으로, 이를 제외한 순자산은 7억6천540만 원이었다.


총자산은 부동산자산 7억5천42만 원, 금융자산 1억2천77만 원, 가상화폐 등 실물자산 4천254만 원으로 구성됐다.


보고서는 "부동산자산이 지난해(6억899만 원)보다 1억4천143만 원(23.2%) 늘어나 총자산이 많이 증가했다"면서, "부채도 지난해보다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금융자산 중 주식의 비율도 대폭 높아지고, 공격적인 투자성향을 드러낸 응답자도 늘어났다.


대중부유층의 금융자산 중 주식 비중은 24.3%로 지난해보다 8.9%포인트 상승했다.


고위험.고수익 투자를 추구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지난해보다 9.9%포인트(p) 늘어난 43.6%였고, 안전을 추구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7.8%포인트 줄어든 33.4%였다.


코로나 확산 이후 근로활동 가치가 '낮아졌다'는 응답률이 '높아졌다'는 답변의 두 배 가까이 높게 나타났다. 코로나19 확산 이전보다 근로활동의 가치가 낮아졌다고 답한 응답자는 28.7%였고, 높아졌다는 의견은 15.5%였다.


근로 활동의 가치가 낮아진 이유로는 부동산이나 주식과 같은 자산의 가격 상승과 비교해 근로소득의 증가가 적기 때문이라 답한 응답자가 46.1%로 가장 많았다.


보고서는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근로활동의 가치가 낮아졌다고 생각하는 대중부유층이 많았다"면서, "이러한 인식 변화는 소득 수준이나 부동산 자산이 감소한 경우 더 두드러졌다"고 분석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경제일반더보기
 기업·산업더보기
 금융더보기
 부동산더보기
 뷰티더보기
 바이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