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서울시 구석 구석 94] 조선시대 대동미 등의 출납 관장했던 '선혜청'
  • 박광준 기자
  • 등록 2021-11-04 19:21:47
  • 수정 2024-04-10 09:54:00

기사수정

선혜청터/서울시 중구 남창동. 지금의 숭례문 수입상가 앞. [박광준 기자] 선혜청은 조선시대 대동미(大同米).대동포(大同布).대동전(大同錢)의 출납을 관장한 관청이다. 


대동법(大同法)의 실시에 따라 설치한 기관으로, 함경도와 평안도를 제외한 6도에 지청(支廳)을 두었다. 대동법을 지방별로 시험을 거쳐 시행했기 때문에 설치 연대가 모두 달라, 처음 설치한 경기청(京畿廳)과 마지막으로 설치한 해서청(海西廳)은 꼭 100년의 차이가 난다.


경기청은 1608년(선조 41, 광해군 즉위년)에, 강원청은 1624년(인조 2)에, 호서청(湖西廳)은 1652년(효종 3)에, 호남청(湖南廳)은 1657년(효종 8)에, 영남청(嶺南廳)은 1677년(숙종 3)에, 마지막으로 해서청은 1708년(숙종 34)에 설치됐다.


선혜청은 1626년(인조 4) 국초에 설치된 상평창(常平倉)과 비변사(備邊司)에 둔 진휼청(賑恤廳)을 병합해 그 기구를 확대했다. 관원으로는 3의정(三議政)이 겸임하는 도제조(都提調) 3명, 호조판서와 2품 이하의 관원이 겸임하는 제조(提調) 3명, 낭청(郞廳:종6품) 5명이 있었다.


낭청은 각 지방청과 진휼(賑恤).상평(常平) 사무를 각각 겸임하고, 낭청 밑에는 계사(計士) 3명이 있어 1명이 2개의 지방청 사무를 분담했다. 각 청에는 서리(書吏) 3∼4명, 고직(庫直) 2∼5명이 딸려 있었다. 1753년(영조 29) 균역청(均役廳)까지 병합했다가 1894년(고종 31) 갑오개혁 때 폐지됐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한국의 전통사찰더보기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조선왕릉 이어보기더보기
 한국의 서원더보기
 전시더보기
 한국의 향교더보기
 궁궐이야기더보기
 문화재단소식더보기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