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여금의 여행이야기 2] 홍성, 전국 두 번째 많은 순교자의 성지 땅
- [윤여금 기자] 홍주(지금의 홍성)는 바다와 인접해 외국 문물 수용의 창구역할을 했으며, 천주교를 받아들이는 시기와 전파속도가 빨라 1700년대 신도 수가 전...
- 2023-01-22
-
- [윤여금의 여행이야기1]홍성 월백산과 홍주를 구한 ‘홍가신의 자랑스런 구국정신’
- [윤여금 기자] 이몽학의 난은 왜란의 혼란 속에서 1596년 7월 6일 (선조 29), 충청도 홍산현 무량사에서 일어난 사건으로 임진왜란 와중에 벌어진 반란 중 최대 ...
- 2023-01-11
-
- 정약용이 '목민심서'를 비롯해 숱한 저서 남긴 '다산초당'
- [박광준 기자]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만덕리에 위치한 다산 정약용과 관련된 문화재로, 1963년에 다산초당을 포함한 관련 유적 일대가 사적 제107호로 지정됐...
- 2023-01-11
-
- 강진에 있는 영랑 생가
- [박광준 기자] 영랑 생가는 집주인이 여러 번 갈리면서 원래의 모습이 조금 바뀌었으나 1985년 강진군에서 사들여 원형에 가깝게 복원했다. 동백나무 몇 그루가...
- 2023-01-05
-
- 진주 촉석루-평양 부벽루와 함께 우리나라 3대 누각 '영남루'
- [이승준 기자] 남원에 광한루, 삼척에 죽서루가 있다면 밀양에는 영남루(嶺南樓)가 있다. 영남루가 처음 지어진 것은 고려시대로, 영남루가 있는 이 터에는 원...
- 2022-12-30
-
- 진주의 역사와 문화가 집약돼 있는 진주의 성지 '진주성(晉州城)'
- [박광준 기자] 경상남도 진주시에 있는 고려후기에 개축된 석축 성곽으로 임진왜란 당시 3대 대첩의 하나인 진주성 대첩을 이룬 곳이다. 당시 진주는 군량 보...
- 2022-12-18
-
- 오랜 역사와 가을 햇살이 가득 담긴 밀양 위양지
- [박광준 기자] 통일신라 때 축조한 저수지로 SBS 드라마 ‘달의연인-보보 경심 려’ 방송 이후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비밀의 정원 위양지(位良池)는 ...
- 2022-12-17
-
- 금시당 이광진의 별업 밀양 '금시당 백곡재'
- [이승준 기자] 금시당 백곡재는 경상남도 밀양시 활성동에 있는 조선 중기의 사묘재실로, 1996년 3월 11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됐다.금시당은 명종 때 문...
- 2022-12-03
-
- [수원화성 둘러보기3] 실용적인 구조로 돼 있는 동양 성곽의 백미 '수원화성(3)’
- 지난호에 이어 [박광준 기자] /다음호에 계속# 화성 포루수원 화성(華城, 사적 제3호)을 방어키 위해 설치한 포진지(砲陣地)이다. 성벽의 일부를 凸자 모양으로 ...
- 2022-11-16
-
- 일제강점기, 가장 많은 변화상을 겪었던 ‘경희궁(慶熙宮)’
- [박광준 기자] 서울특별시 종로구 신문로에 있는 조선후기 왕의 피우(避寓)를 위한 이궁으로 건립된 궁궐로, 본래 경덕궁(慶德宮)으로 불렸다. 처음 창건 때는 ...
- 2022-11-13
-
- [철도역 이야기 7] 천년사찰의 관문 '용문역'
- [박광준 기자] 중앙선의 철도역으로, 1941년 4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한국전쟁 때 역사(驛舍)가 소실됐다가 1957년 6월 14일 역사를 신축해 2009년 2월 ...
- 2022-11-09
-
- 용문산 지구전적비
- [박광준 기자]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5월, 용문산에서 한국군 6사단이 방어선을 돌파하려는 중공군 제63군과의 육박전 끝에 공격을 저지했는데, 이를 용문...
- 2022-11-09
-
- 판소리계 소설 '춘향전'의 무대이며 국악의 성지 ‘광한루’
- [박광준 기자] 광한루원은 우리나라 4대 누각의 하나인 광한루와 함께 하늘의 옥황상제가 살던 궁전 ‘광한청허부’를 지상에 건설한 인간이 신선이 되...
- 2022-11-07
-
- [폰으로 만난 문화 & 역사 111] 조선총독부 철거부재 전시공원
- [박광준 기자] 조선총독부는 한국을 영원히 지배하기 위해 일제가 설치한 식민통치기관이었다. 일제는 조선 왕조의 기운을 억누를 목적으로 경복궁의 강령전...
- 2022-11-06
-
- [폰으로 만난 문화 & 역사 110] "애국선열들의 불굴의 민족혼-자주 독립의지가 담긴 어록"
- [이승준 기자] 독립기념관 경내에는 야외 전시물인 애국 선열들의 시.어록비가 건립돼 있다. 여기에는 이순신 등 전통시대에 국난을 극복한 인물과 김구 등 일...
- 2022-11-06
-
- [폰으로 만난 문화 & 역사 109]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
- [이승준 기자] 독립기념관 경내에는 야외 전시물인 애국 선열들의 시.어록비가 건립돼 있다. 여기에는 이순신 등 전통시대에 국난을 극복한 인물과 김구 등 일...
- 2022-11-06
-
- [절두산 순교성지 순례 4] 서울양화나루와잠두봉유적(2)
- [박광준 기자]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있는 조선후기 천주교 관련 성지(聖地)로 1997년 사적으로 지정됐다. 양화나루는 당산철교 북단 인근에 위치해 있었고 안양...
- 2022-11-05
-
- 임청각에 서린 민족정기를 받으며 석주 이상룡의 시대정신을 만나보자
- 임청각 전경/자료사진[박광준 기자] ‘동쪽 언덕에 올라 길게 휘파람 불고 맑은 시냇가에서 시를 짓는다’는 도연명의 ‘귀거래사’ 시구를 빌려 ...
- 2022-11-01
-
- 독특한 구조.수법과 전통양식 보존된 '고성이씨 탑동파 종택'
- [박광준 기자] 고성이씨 탑동파 종택은 이황을 시조로 하고 이증을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안동시 세거 성씨이다. 안동에 살고 있는 고성이씨(固城李氏)는 입...
- 2022-11-01
-
- 이황이 후학들에게 학문을 가르치던 누각 '명옥대'
- [박광준 기자] 명옥대는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에 있는 조선시대 누(정)각으로, 1986년 12월 11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됐다.이황(李滉)이 후학들...
- 2022-10-31
-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
-
- [박정기의 공연산책 217] 故 신정옥 교수를 추모하며
- 1989년 셰익스피어 희곡 작품 37권을 번역해서 펴낸 신정옥(申定玉) 명지대 명예교수가 2022년 8월 19일 오전 2시6분께 노환으로 세상을 떠났다. 향년 90세.신정옥(申定玉 1932~2022)교수는 함경남도 정평 출생으로 명지대 영문학과 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명지대 명예교수였다. 경북대를 거쳐 이화여대 대학원을 졸업한 뒤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
- [박정기의 공연산책 216] 프로젝트 아일랜드, 서지혜 연출 '장녀들'
- 아트원 씨어터 3관에서 프로젝트 아일랜드의 시노다 세츠코 작 서지혜 연출의 장녀들을 관람했다.시노다 세츠코(Setsuko Shinoda,しのだ せつこ,篠田 節子)는 1955년 도쿄 도 하치오지(八王子) 시에서 태어났다. SF나 모험활극에 심취해 있던 어린 시절, 코난 도일의 『잃어버린 세계』에 큰 감명을 받고 작가의 꿈을 꾸었다. 도쿄 학예대학 교육학.
-
- [박정기의 공연산책 215] 주 아크 컴퍼니-바스트 엔터테인먼트 공동제작, 이순재 연출 '갈매기'
- 유니버설 아트센터에서 주 아크 컴퍼니와 바스트 엔터테인먼트 공동제작 안톤체홉 작 이순재 연출의 갈매기를 관람했다.안톤 체홉(러시아어 Анто́н Па́влович Че́хов, 영어 Anton Pavlovich Chekhov,문화1860~ 1904)은 의사, 소설가, 극작가다.체호프는 모스크바 예술극단과의 유대가 강했고, 직접 무대에 서기도 했다. 1901년에 결혼한 “올...
- 전시더보기
-
-
- 홍성, 고암 화백 '이응노 그리다' 예술세계 조망
- [윤여금 기자] 이응노 생가 기념관에서의 ‘이응노 그리다’ 전시는 이응노의집 소장품 중 최근 3년간 소개되지 않은 작품을 중심으로 고암의 예술세계를 조망하고, 자신만의 독창적인 이응노 예술세계의 발자취를 따라 네 개의 관점에서 첫 장 ‘삶 그리다’, 다음 장 ‘그림 그리다’, 세 번째 ...
-
- 이천시립월전미술관, 22점의 띠그림전 ‘토끼卯’ 3월19일까지
- [이승준 기자] 이천시립월전미술관(관장 장학구)이 2023년 계묘년 토끼해를 맞아 띠그림전 ‘토끼卯’를 오는 3월19일까지 개최한다. 토끼는 큰 귀와 동그란 눈을 가진 귀여운 모습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 받아 왔다. 다산과 풍요, 불사와 희생을 상징하는 등 작지만 지혜로운 동물로 인식돼 왔다. 이번 전시는 이천시립...
-
- 수원시립미술관, '에르빈 부름: 나만 없어 조각' 전 개최
- [이승준 기자] 경기도 수원시 수원시립미술관(관장 홍건표)은 현재 개최 중인 국제전 '에르빈 부름: 나만 없어 조각'의 이해를 높이기 위한 어린이 대상 교육용 체험 키트를 제작해 배포한다. 키트는 현대미술에 유희적 요소를 더해 조각, 사진, 영상, 회화 등 다양한 매체를 넘나드는 작업을 진행하는 세계적인 조각가 에르빈 부...